인간의 피안
하오징팡 지음, 강영희 옮김 / 은행나무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6편의 단편이 수록되어 있다.

벌써 3편이 영화화될 예정이란다

영생병원은 영화<아일랜드>를 생각나게 했다.

김초엽 작가의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있다면>을 읽고 난 후라 더 관심이 간 책이다.

하오징팡이라는 작가가 중국의 김초엽이라고 해도 되겠다 싶었다. 물리학을 전공한 과학도이다.


인간의 일을 대신할 수 있는 AI를 개발하고 상용화하는 시대, 더욱더 전문적인 영역으로의 확대뿐만 아니라 인간의 신체기관을 배양하고 대뇌에 칩을 심어 뭇신들이라고 하는 데이터의 각종 총합의 개체들이 인간의 감정을 지배할 수 있는 시대까지 단편이지만 장편소설을 읽은 느낌이다

6개의 단편들 모두 흥미진진했다.

 SF소설인데 미스터리 소설같기도 하고 인간의 본성을 다룬 철학소설이기도 했다

배양된 신체기관에 죽음 직전의 인간이 동의하는 전제로 뇌를 스캔해서 재창조한다는 이야기를 담은 <영생병원>, 

집의 모든 것을 책임지고 관리하는 천다라는 AI와 그런 존재에 대해 의심하고 AI에 한없이 지배받는 듯한 모습을 보이는 아버지와 천다를 비판하는 린산수이간의 살인사건 문제를 다루고 있는 <사랑의문제>, 

100년간 지구를 대체할 수 있는 행성을 찾다 돌아온 케커 일행이 본 지구의 모습은 인간의 자유의지는 사라졌고 제우스라는 데이터 총합의 지배를 받고 있고 그런 모습을 보면서 인간의 자유와 감정을 되찾고 자신들의 공간인 인간의 섬을 찾아가는 <인간의 섬>, 이 세편이 특히 더 흥미로웠다.


<영생병원>이나 <사랑의문제>에는 상당한 반전도 숨어있다.


 난 지금 이순간 자유를 가지고 있어요. 나야말로 나 자신의 주인이죠. 나는 내 생각과 선택을 결정할 수 있어요.”

이 세상에는 여전히 나와 같은 사람이 있다는 것을...사람을 믿고, 사람의 신성과 역량을 믿는 그런 사람 말이야. 사람의 마음에 출렁이는 스스로 결정하고자 하는 빛을


그런데 진짜 지구를 대표하는 종이 언젠가는 데이터의 총합인 뭇신들의 총체, 제우스가 될 수도 있을까?

첨단과학의 시대에도 불완전하고 결함이 있어도 인간의 고유성은 사라지지 않았으면 좋겠다. 


독서모임에서 선정도서로 하면 얘기할 거리가 참 많을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