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방 전후사의 재인식 1
박지향, 김일영, 이영훈 외 지음 / 책세상 / 2006년 2월
평점 :
품절


 

  이 책을 읽게 된 계기는 매스컴에 의한 광고 때문이기도 하지만 현대사와 관련된 글을 쓰면서 현대사에 대한 공부를 더 해보고 싶었기 때문이었다. 그런데 정작 이 책에 대한 체계적 비판을 시도한 글은 찾아보기가 힘들었다. 그러던 도중 “창비”에서 최원식 교수가 이 책에 대한 글을 쓴 걸 보고 필자가 읽은 느낌과 비교할 수 있게 되어 기뻤다.

  박지향 교수의 머리말이나 이영훈 교수의 ‘왜 다시 해방전후사인가’라는 글이 “해방 전후사의 인식”에 나타난 복잡하고 다양한 논의의 층위를 단순화시켜 너무 무리하게 일반화시키는 경향도 있다고 본다. 2권 마지막 대담 내용도 편자들이 기존의 민중중심사관에 대해 지나칠 정도로 대항논리로 맞서고 있다는 것도 문제다. 역사를 바라보는 ‘여러 잣대’를 얘기하며 정작 민족이라든가 통일이라는 잣대만큼은 냉정하다 못해 냉혹하리만큼 거부적 반응들이다. 이에 대한 편자들의 포용과 이해가 아쉬울 따름이다.

 필자가 읽기엔 주익종, 이철우, 김낙년 교수의 글이 기존의 생각을 재고하게 하는 좋은 글이었다고 본다. 특히 소정희 교수의 글은 한국정신대연구소가 발간한 “강제로 끌려간 조선인 군위안부들”이라는 증언집 세 권을 다 읽은 터라 공감하는 부분이 많았다. 군위안부 문제에 대한 가장 큰 책임은 일본정부에 있지만 내재적 요인으로는 유교문화적인 가부장제와 가정 폭력을 꼽을 수 있고 근대화에 대한 억압된 개인의 욕망이 자초한 결과라고도 생각한다. 미공개된 수기지만 당시 징용에 끌려갔던 한 사람이 쓴 글에도 위 사항을 입증하는 내용이 있어 몹시 놀라웠다. 50년대를 분석한 유익종의 글은 다소 논거가 부족하지 않나 싶다.

  “해방전후사의 재인식”을 읽으면서 느낀 점은 우리나라의 모순과 문제점들이 일차적으로는 외세나 일본제국에 있지만 우리 내부에 대한 문제점도 밝히려고 한 점이 단연 돋보였다는 점이다. 오늘날 진보 진영세력이나 단체들도 내부의 통렬한 자기비판 없이는 국민의 어떠한 지지도 받기 어렵듯이 학문하는 사람도 진리는 고정불변의 것이라는 생각보다는 그것이 반증될 수 있을 때 진정한 진리라는 것을 깨달을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전체적으로 볼 때 위에서 지적한 몇 가지 문제점은 있지만 “해방전후사의 재인식”에서 각 필자들이 주장한 내용에 대해선 진지하게 검토할 필요가 있고 또 수용해야 할 점도 많다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