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구꽃이 돌아왔다 창비시선 299
김선태 지음 / 창비 / 200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삶의 빗살로 빚어낸 곡선의 말들



 온종일 뙤약볕 아래서도 추모 열기는 맹위를 떨어뜨리지 않고 있다. 온 국민이 애도하는 가운데 노대통령이 남긴 유언이 생각난다. “삶과 죽음이 모두 자연의 한 조각 아니겠는가?”

 김선태 시인의 세 번째 시집 『살구꽃이 돌아왔다』에서도 삶과 죽음이 둘이 아니라 하나임을 노래하는 작품이 눈에 많이 띈다. 먹이사슬은 대자연의 진리다. 한 개체의 소멸은 다른 생명의 몸에서 다시 잉태되어간다. “독수리 날개를 빌려 타고 하늘을 훨훨”(「조장(鳥葬)」) 날아가기도 한다. “비극보다 황홀이 숨쉬는”(「황홀」)자연 속 세상에서 “정(靜)과 동(動)이 내통하는 허공의 정물화 한 점 살아 있는 정물화 한 점”(「벌새」)이 탄생한다. 생과 사를 둘로 갈라보면 “자궁 같기도 하고 무덤 같기도” 하며 “한쪽에 태아가 한 쪽에 노인이 누워 있”(「감씨」)는 형국이다. 그렇기 때문에 죽음을 바라보는 시선도 “침울하지 않았다, 평온했다 삶과 죽음이 한통속이었다.”(「조장(鳥葬)」) 이전에 발간된 시집에서 느끼지 못했던 삶과 죽음에 대한 깊은 통찰과 혜안이 가슴 아리도록 다가오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김선태 시인은 “결국 다시 살구나무 아래로 돌아”(「행화」)간 셈이다. 시집의 표제가 의미하는 바도 바로 이런 맥락에서 연유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생과 사에 대한 시인의 사유를 거슬러 가면 거기엔 소멸되어가는 것에 대한 안타까움과 그리움이 배여 있다. 그런 심상의 풍경들은 바로 가지 못하고 “칙-칙-폭-폭 달고 지나가는 완행열차의 풍경”(「농업박물관」)처럼 곡선의 말이 되어 우리 곁에 되돌아온다. 우리 삶의 지천에 버려진 곡선의 말을 보듬고 안타까워하는 시인의 모습이 대자연 속에 클로즈업 되는 듯하다.

 한편 시집의 주된 소재 중의 하나는 ‘바다’이다. 시인의 정신적 고향이기도 한 바다는 갯사람들의 희로애락이 녹아 있는 곳이다. “일몰의 수평선 너머로 붉디붉은 가락 하나가 저”(「서해에서」)물면, “조금새끼 하고 발음하면 웃음이 나오다가도 금세 눈물이 나는 건”(「조금새끼」) “사람들의 운명이 죄다 들어 있기 때문”이다. 주린 배를 달래며 쭈구미 쌀밥으로 소원을 풀던 바닷가 사람들이며, 고통스런 삶을 제 삶처럼 받아들이며 인내하는 모습들이 잘 삭은 절창으로 묻어난다. 때로는 “저 징그러운 파도소리에 몸서리”치며 “극단의 고독과 불행에 몸써리치”(「자산어보」)는 “지금껏 살아온 날들과 과감히 결별하”(「낚시유배」)는 아름다운 최후까지도 가슴 저미도록 다가온다. “한동안 바다가 끼고 있는 섬들과 갯벌과 물고기와 어민들의 삶과 친해지고 싶”다던 작가의 말처럼 바다는 시인의 영원한 정신적 고향(Heimat)인 셈이다. 그 고향을 향해 시인은 “정중동의 느린 중심”(유성호)으로 일관하며 가고 있다.

  이번 시집이 이전에 비해 삶의 깊이와 성찰을 통해 소멸해가는 것과 자연에 대한 따스한 눈길로 우리의 심금을 울리는 절창들이 많다면, 일부 서사적 틀을 갖는 시에서는 시적 긴장감이 다소 떨어지며 절제미가 결여되는 작품들도 더러 눈에 띈다. 변방을 거처로 한 시인의 삶과 예술이 일국을 넘어 세계로 웅비하는 그 날을 기대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