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육문제론
정원식 외 지음 / 교육과학사 / 199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난 10월 27일 서울 여의도 문화마당에서 개최된 교사들의 집단 연가 투쟁이 시사하듯, 신자유주의와 시장경쟁원리에 근거한 7차교육과정과 특권층 자녀를 위한 귀족학교인 자립형 사립학교를 사수하려는 교육부 측과 신자유주의 교육정책에 맞서 교육평등과 공교육을 사수하려는 전교조 측의 첨예한 대립은 오늘날 한국교육의 문제를 극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한국교육문제론』은 41명의 교육학자들이 공동으로 집필하여 발달단계별 교육, 교육의 본질적 측면, 교육정책, 평가의 실천, 정의적 교육, 특수교육, 주요쟁점들, 개혁의 과제 등 8개 부문에 대해 논하고 있다. 그리고 각 소주제별 각론마다 참고문헌과 추천도서를 명시하여 보다 심오한 내용을 공부하고자 하는 이들에게 도움을 주고 있다.

제1부 발달단계별 교육은 우리나라 유아교육, 초등교육, 중등교육, 고등교육, 평생교육의 문제점을 지적한 발제 형식의 글이다. 지금 우리나라 교육의 문제점을 타개해나가기 위해서는 교육현실에 대한 정확한 상황 인식이 필요하다. 이를테면 중등교육 문제에서는 오늘날 우리 중등교육이 지향해야할 교양의 완성과 고등교육의 준비라는 두 목표가 균형을 이루지 못하고 후자 쪽에 치중함으로써 소기의 교육목적을 이루지 못하고 있음을 지적하고 있으며, 고등교육 문제에 있어선, 오늘날 우리 대학들의 양적 팽창에 따른 질적 내용의 부실이 초래하는 대학 내 여러 가지 문제점을 논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평생교육 문제에서는 지금까지 우리 사회가 평생교육을 교육학의 하부연구영역쯤으로 이해하여 '평생교육이 성인교육 혹은 사회교육을 전공하려는 사람들의 전유물'인 것으로 잘못 이해하고 있음을 비판한다.

지금까지 얘기했던 것은 빙산의 일각에 불과한 것이지만, 한국교육의 문제점는 너무 매너리즘에 빠져 교육 현실문제를 직시하지 못하고 타성과 관성에 의존하려는 성향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한국교육의 문제에 대해 좀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첫째, 교육의 본질보다는 제도를 중시하며, 둘째, 학교교육에 대한 과의존(過依存)을 하며, 셋째, 교육을 출세의 수단시하며, 넷째, 정부에 대해 지나치게 의존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주지주의(主知主義)적 교육성향을 탈피하여 인간교육을 중시하고 지식보다는 지혜를 강조하며, 타율적 주입보다는 자발적 탐구가 요구된다. 또한 과밀학급 해소와 교사의 소명의식 고취, 국제문화교류의 촉진을 통해 지속적인 학교교육환경 개선을 위해 노력해나가야 할 것이다.

지금까지 얘기했던 것을 근거로 『한국교육문제론』이 일반독자들에게 한국교육의 실상을 바르게 이해하는 데 여러모로 도움이 되리라고 생각된다. 물론 내용과 구성이 논문식으로 구성되어 자연스럽게 읽히는 맛이 떨어지고 여러 사람이 공동 집필하여 개인의 견해차가 다소 존재하겠지만, 오늘날 교육을 걱정하는 사람 중 한사람으로서 강호에 일독을 권하는 바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