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두워진다는 것 창비시선 205
나희덕 지음 / 창비 / 200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느 해 수도암에서 하룻밤 묵을 때 일이다. 어스름이 사위에서 밀려오고 내가 머물던 객사에는 3무(텔레비전, 신문, 전화)의 세계 속에 침묵만이 흘러 넘쳤다. 그 때 내가 들은 것은 스님의 독경소리도 풀벌레의 울음소리도 아니었다. 휘영청 밝은 달 때문에 문을 열어보니 멀리 수도승의 삼천배하는 모습이 들어오고 모처럼 한가한 시간이 내게 말하는 소리가 들려왔다.

나희덕의 <어두워진다는 것>에서도 무수한 소리의 향연과 그 소리에 귀 기울일줄 아는 겸손한 마음과 내면의 충일함이 느껴진다. 시적화자가 듣는 소리는 복숭아나무 그늘에서 저녁이 오는 소리, 상수리나무 검은 숲에서 이따금 들려오는 말소리, 철원 들판을 건너는 기러기떼의 날개로 노젓는 소리, 승부역 마른 꽃대들의 싸드락거리는 소리에서 병을 막 알았을 때와 죽음을 앞둔 울음소리까지 다양하다. 그러한 소리는 어떻게 들리는 것일까. 무엇보다도 사물과 생명체를 바라보는 자애로운 눈빛을 가져야함은 말할 나위 없다.

그런 시적화자의 시선을 따라가보면 마사목에 친친 감겨 신음하는 어린나무가지부터 밤늦게 돌아온 남편의 옷에 이르기까지 안쓰러움에 못이겨 저녁이 되면 모든 신체의 모든 부위가 조금씩 아파오는 찢겨진 몸의 흔적이 있을 뿐이다. 이전의 시에서도 그런 흔적들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실업가장이 아이들을 데리고 아내를 기다리는 애처로운 모습을 담은 「못 위의 잠」이나 물끄러미 화자를 바라보는 다람쥐의 그 맑은 눈빛 앞에서 그만 핑그르르 굳었던 젖이 도는 「어린 것」이 그 대표적 예이다. 세상 잡다한 번뇌로 인해 심안이 맑지 않으면 사물과 뭇생명들이 말하는 소리에 귀 기울일 수도 없고 또 듣지도 못하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시인은 자연의 사원으로 들어간다고 보들레르가 말하지 않았던가. 그곳에서 시인은 신들과 숲들이 말하는 소리를 듣고 우리에게 전언을 한다.

<어두워진다는 것>에서 시적 화자는 대상에 대한 연민과 사랑으로 뭇소리를 감별한다. 그 소리를 듣노라면 어느새 자신을 뒤돌아볼 수 있는 틈 하나가 보이고, 그 속에 우리의 자아가 어둠 속에 가녀린 불빛으로 흔들리며 나타난다. 이 시집을 읽으며 소리를 감별하는 섬세한 감정의 파장이 옹달샘의 파문처럼 바쁜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들의 마음에 오래도록 남았으면 하는 바램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