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슬픈 불멸주의자 - 인류 문명을 움직여온 죽음의 사회심리학
셸던 솔로몬.제프 그린버그.톰 피진스키 지음, 이은경 옮김 / 흐름출판 / 2016년 11월
평점 :
슬픈 불멸주의자
인간은 자신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인식하기 때문에 언젠가는 자신이 더는 존재하지 않을 것이라는 사실 역시 안다. 죽음은 그 자신이 예측하거나 통제할 수 없고, 설령 앞에 닥친 죽음의 순간을 피한다 하더라도 자신이 영원히 살 수는 없다는 사실을 안다. 이렇게 죽음을 인식하는 것은 지성을 갖춘 축복 받은 존재인 인간의 불행함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러한 죽음을 인식하는 능력으로 인해 인간은 공포를 느낀다고 한다. 이는 인간이 가진 가장 큰 비극이라고 저자는 말한다. 복잡하게 사고할 수 있는 인간이기 때문에 눈앞에 위험이 닥치지 않아도 공포를 경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인간을 무력하게 하는 이러한 공포로 인해 공포에 대처하기 위한 방어기제가 일어난다.
인간의 ‘동물성’과도 연결되는, 육체적 존재에 대한 인식은 그것을 극복하기 위한 여러 가지 행동들을 유도한다. 인간이 언젠가 죽을 육체적 존재이기에, 그러한 죽음의 공포에 대처하기 위해 육체보다 더 뛰어난 존재이길 원한다는 것이다. 저자는 화장, 제모, 문신, 성형 등이 모두 인간의 육체성을 가리기 위한 장치라고 말한다. 또한 인간은 스스로를 죽은 후에도 영속할 가치 있는 존재로 간주함으로써 죽음의 공포를 누른다. 각종 의례, 예술, 신화, 종교 등이 불멸을 위한 인간 욕망의 발현이라는 것이다.
이는 오랜 세월을 이어져 온 인식들이자 현대에도 이어지고 있는 행동들이기도 하다. 우리나라와, 혹은 내 주변과는 다소 거리가 있는 이야기인 듯싶기도 했으나, 실제 많은 문화권에서 이러한 죽음의 공포 극복 행위들이 빈번히 일어나고 있다는 것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우리 주변의 흔한 행위들 근저에 이러한 심리적 판단이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에 새로운 기분을 느낄 수 있다. 어쩌면 죽음과는 다른 또 다른 공포일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