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통의 리셋, 클럽하우스 - 소셜 미디어의 새로운 미래를 만나다
김경헌 외 지음 / 메디치미디어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통의 리셋, 클럽하우스

김경현, 김정원, 신영선, 신호상, 이종범 지음

클럽하우스? 뭐지? 술 먹는 곳인가? 아니면 춤추는 곳인가? 이런 생각을 떠올리게 하는 단어이다. 갑자기 혜성처럼 나타난 클럽하우스라는 SNS! 나도 기본적인 SNS는 하고 있다.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카카오스토리, 네이버 블로그 정도로 매번 사진을 찍고 피드를 올리는 건 아니지만 가끔 시간이 있을 때 잠시라도 들어가서 다른 사람들의 사진이나 issue들을 보면서 지낸다.

하지만 어느 순간 클럽하우스라는 새로운 SNS가 들어오면서 궁금증을 만들었다. 주변에 한 지인이 클럽하우스 이야기를 하면서 어떤 건지 알아보다가 일반 다른 SNS와는 다르다는 이야기를 듣고 궁금해졌다. 이 책에는 처음 클럽하우스를 접하는 사람들이 궁금해하는 내용, 즉 어떤 점이 다른지, 왜 사람들이 클하를 선호하는지에 대해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다른 SNS는 계정을 여러 개 만들 수 있다. 주계정 및 부계정이 있지만, 클하는 오직 1개의 계정이며, 실명으로 만들어야 한다. 이것은 안전함과 신뢰감을 느끼게 하는 것이다. 새로운 점은 또 댓글이 아닌 음성기반의 서비스가 주는 친밀감이다. 우리는 목소리만 들어도 이야기하는 말투만 들어도 그 사람의 전체적인 느낌 및 생각을 어느 정도 감을 잡을 수 있게 된다. 그만큼 서로의 목소리를 통해 이야기를 듣고 말하는 것이 더욱더 깊이 있는 교류를 할 수 있다고 생각이 든다.

클럽하우스에서 실시하는 음성 서비스는 감정전달과 친밀함은 살리고 비디오가 주는 부담감을 줄여주고 있다.

 책을 읽다 보면 어느덧 클하에 빠진 사람들은현생(현실 생활)에 다녀올게.~’ 또는 오늘 클하(클럽하우스) 말고 뭐 했어? 라는 안부를 물으면서 지낸다. 그만큼 클하 생활이 진짜 생활이고 우리가 지내는 현생이 잠시 나갔다 오는 생활로 인식을 하고 있다.

작가가 말하듯이 클하 생활은 중독성이 있다고 한다. 어떻게 보면 종일 채팅을 하고 말을 해야 하는 걸까? 라는 오해를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예를 들어 클하에 들어가면 아침에는 아침 뉴스를 듣고 점심에는 음악 이야기를 하고 저녁에는 맛있는 음식 및 생활에 대해 이야기를 하면서 지내는 것이다.

나도 아직 클하 초보이다. 처음 접하는 SNS에 대해 처음이 주는 어려움이 있지만, 다른 SNS도 같이 처음에는 어색함이 있었다. 하지만 조금 적응을 하다 보면 어떤 SNS도 더 커질 것이라도 본다. 클하 초보도 이 책을 통해 조금 더 깊이 있는 클하를 발견할 수 있을 거라고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