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파민의 배신 - 중독의 모든 것: 술, 도박, 스마트폰, 음식, 마약
강웅구.박선영.안유석 지음 / 포르체 / 2025년 3월
평점 :
어떤 책일까?
🌼 ‘이 시대를 대표하는 ‘중독’ 현상의 여러 형태를 알아보고, 중독 위험 지대에 놓인 우리 사회가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지 제안한다.’
무엇을 알려주는 책일까?
🌼 ‘술, 도박, 마약 등처럼 다양화된 중독을 어떻게 이해하면 좋은가에 대한 논의를 담고 있다. 또한, 중독이 어떤 메커니즘으로 일어나는 것인지, 다양화된 중독에 얽힌 사람들이 어떤 양상을 하고 있는지 등을 알아본다. 나아가 사회 시스템을 중심으로, 이러한 중독을 어떻게 치료할 수 있는지 고민하게 한다.’
누가 읽으면 도움이 될 책일까?
🌼 ‘중독이라는 주제에 호기심이 있는 사람, 중독자를 마주하는 직업을 가진 전문가 및 연구자.’
개인적인 감상
🌼 ‘이 책은 중독의 기본 개념, 역사, 다양한 양상, 치료를 위해 사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 등을 핵심으로 말하고 있다. 중독에 관한 다방면한 내용을 체계적이고 인문학적으로 읽어볼 수 있어 좋았다.’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는, 중독이라는 현상을 쉽게 접할 수 있다. 대표적인 예시로는 스마트폰, 술, 담배, 음식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중독 현상을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
애초에 중독이란 무엇일까? 중독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까닭은 단순히 의지박약이기 때문에 그런 것일까? 이 책은 이러한 질문을 바탕으로 시작하고 있다.
그리고 이어서 중독의 개념, 여러 중독 상태의 양상, 중독 물질의 역사, 약물 등을 통해 뇌가 중독에 빠지는 과정, 중독을 치료하며 사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 등을 제안한다.
책에서 기억에 남는 문장은 ‘중독은 문화적 산물’이라는 것이었다. 중독을 일으키는 모든 것은 문화에서 피어났으며, 문화 없이는 중독도 없다는 뜻이다. 이는 문화가 있는 한, 우리는 늘 중독이 도사리는 세상을 살아가야 한다는 말이기도 하다. 우리는 중독이라는 것을 완전히 없애야 하는 현상으로 보지만, 실은 그럴 수 없다는 점이 아이러니한 점이다.
때문에, 중독이라는 현상을 우리 세상에서 완전히 추방할 수는 없으므로, 이를 적절히 ‘조절’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중독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가 필요하며, 바로 그 점이 이 책이 필요한 까닭이 된다.
더불어 책을 읽고 난 후, 중독에 대한 모호한 개념과 잘못 알고 있던 부분을 바로잡을 수 있었다. 특히 기억에 남았던 내용을 언급해보면, 중독에 의해 발생한 욕구는 배고파서 밥을 먹은 후 포만감을 느끼며 욕구를 멈출 수 있는 것처럼, 따로 ‘항상성’이 발동하지 않는다는 부분이었다. (욕구가 가라앉지 못한다.)
이는 대단히 중요한 문장이다. 왜냐하면 중독에 빠졌을 때, 단순히 본인 의지만으로는 중독을 극복할 수 있는 게 아니라는 것을 알려주기 때문이다. 이는 중독이라는 문제를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 공동체의 문제’라고 보아 해결책을 찾아가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기도 한다.
중독과 연관이 있는 도파민 분비 과정에 대한 내용도 기억에 남았다. 보통 우리는 도파민이 특정 행동을 한 다음에 생겨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사실은 특정 행동을 하고자 하는 마음(즉, 어떠한 꽂힘)에서 우선 도파민이 생긴다고 한다.
쉽게 말하자면, 도파민은 결과에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결과를 이루기 전 단계에서 먼저 나타나는 것이다. (맛있는 아이스크림을 먹어서 도파민이 생긴다. X, 맛있는 아이스크림을 먹을 생각에 도파민이 생긴다. O)
또한, 중독자가 특정 행위 자체를 하는 것은 중독이 아니다. 해당하는 행위를 점차 통제하지 못하는 것이 중독이다. 이러한 중독 현상의 촉매제가 되는 갈망감(중독된 것을 원하는 욕구)을 통제하기 위한 방법을 찾음으로써, 치료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는 내용이 기억에 남는다.
이렇듯 이 책은 한 권을 통해, 우리가 중독에 관해 모두 알고 있다고 생각했지만, 제대로 알지 못했던 정보를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잘 정리했다. 관련 분야의 전문가들의 의견이 담긴 내용이라, 이야기의 신뢰도도 깊다. 중독의 개념, 역사, 중독의 메커니즘, 중독 물질, 중독 문제에 관해 사회가 마주해야 할 지향성 등 중독의 여러 이야기를 알고 싶은 사람이라면, 이 책을 한 번 읽어보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