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를 부탁해
신경숙 지음 / 창비 / 200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엄마를 잃어버린 지 일주일째다‘
알 수 없는 불안함을 풍기는 문장으로 시작되는 신경숙 작가의 소설 “엄마를 부탁해”
많은 사람들이 추천을 하여 읽게 되었는데, 그 전에 국가대표라는 영화를 메마른 감정 -나에겐 일부러 감동을 쥐어짜내는 듯했다- 으로 보았기 때문에 이것 역시 대충 어떤 이야기이며, 어떻게든 울게 만들 것이다 하는 편견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웬걸. 신경숙 작가의 글은 처음이었는데 이 작품은 너도나도 찬사할만한, 분명히 이슈가 될 만한, 또한 이 세상 모든 어머니를 돌아보게 할 만한 강한 임팩트를 가진 작품인 것은 틀림이 없었다.

파격적이었던 것은 주어가 '나’가 아닌‘너’라는 것이었다. 초반부를 읽어 내리는데‘너’라는 주어가 참 낯설게 느껴지는 데서 흥미가 있었다. 재미난 건 ‘너’라는 주어가 얼마나 파격적인지, 내 친구님께서 친히 출판사에 전화를 하셔서 오탈자가 있다고 지적을 했을 정도였다. 이 얘길 들었다면, 작가와 편집자가 얼마나 웃었겠는가. 흐흐…….

여기서 ‘너’라는 주어는 주인공인 엄마의 큰딸이다. 이 책은 에필로그를 포함하여 5장으로 되어 있고 장마다 주어가 ‘너’, ‘그’ 등으로 바뀌어 화자가 달라진다. 이 다섯 장은 엄마와 남매들의 독백으로 구성되어 있다. 스토리는 이렇다. 시골에서 남편과 자신의 생일을 치를 겸 남편과 함께 서울로 올라온 어머니가 그만 남편의 손을 놓쳐 서울역에서 행방불명이 된다. 해마다 두 분이 당신들의 생일을 치르기 위해 서울에 올라오면 오남매들이 번갈아 가며 마중을 나오곤 했다. 그런데 하필 엄마가 실종된 그 날은 다들 갖은 핑계를 대며 아무도 마중을 나가지 않았던 것이다. 그래서 엄마를 잃어버린 이 가련하고도 못난 철부지 자식들은 ‘너’라고 지칭되어지는 첫째 딸부터 그 동안 너무나 가까우면서도 멀었던 엄마에 대한 미안함과 엄마를 잃어버림으로써 다시 상기된 엄마에 대한 감사함에 대해서 고백하기 시작한다.

책에서 ‘너’는 엄마를 ‘물리적’으로 ‘잃어’버렸다고 고백한다. 그러나 ‘너’와 오빠인 ‘그’를 포함한 ‘남매‘들은 실제로는 ‘정신적’으로 엄마를 ‘잊어’버렸다. ‘엄마’라는 존재는 하나의 인격체로서가 아닌 원래부터, 날 때부터 ‘엄마’라고 치부되어져 한편으로는 추앙받고 존경받고 있는 것 같으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늘 고독하게 방치되어져 버리는 것 같다. 물론 옛날보다는 어느 정도 자기 생활을 누리며 그것에 만족하고 사는 ‘엄마‘들도 있지만, 역시나 ’인격체‘아닌 엄마로서는 어느 정도의 방치된 생활을 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이것은 엄마를 방치해두는 다수의 자식들에게 이야기하는 것이 아닌, 나 자신의 고백이 될 수도 있겠다. 아니 이미 이 글은 그동안 엄마를 방치해 두었던 나에게 던지는 돌멩이 같은 것이다. 사실 엄마가 어젯밤 갑자기 복통을 호소하다가, 체했다면서 손가락을 따고 매실을 마시고 그랬는데도 낫지 않아 하룻밤을 꼴딱 고통스럽게 지새우셨나보다. 아침까지 아픈 채로 고통스럽게 주저앉아 계셨다. 그렇게 괴로운 얼굴을 하고 있는 엄마를 뒤로한 채 내 삶을 시작하기 위해 엄마 곁을 떠났다. 그런데 아침에 헤어졌던 엄마가 지금은 어느 병원에 입원해 계신다. 체했는줄 알았더니 맹장에 걸렸단다. 잠든 엄마 곁에서 이 글을 쓰면서 어젯밤 엄마가 체했다고 하셔서 아무 것도 모르고 엄마 배를 세게 문질렀던 게 생각이 난다. 얼마나 아프셨을지. 어디서 맹장에 걸리면 다리를 못든댔는데 우리 엄마는 다리도 번쩍번쩍 들기에, 체한 줄로만 알고 배를 누르기도 하고 팡팡 두들기기도 하고 그랬었는데..;

엄마가 식은땀을 흘리며 잠들어 있는 얼굴을, 수건으로 닦아내면서 문득 엄마와 해야할 많은 일들이 생각났다. 내가 연애를 하면서부터 엄마와 영화보러 간 적이 없었다는 거. 연애하기 전에는 엄마가 나의 단짝친구였는데. 학교를 중퇴하고 친구들이 다 학교에 가있는 낮시간에 엄마와 함께 극장으로 '킬러들의 수다'를 보러 갔었던 게 생각이 났다. 낮이라 그런지 극장 안에는 엄마와 나를 포함해 단 6사람 밖에 없었다. 물론 지금도 365일 중 200일을 함께 자는 우리(나는 어둠을 무서워해 평소에 부끄럽게도 혼자 자는 것을 힘들어 한다)지만, 앞으로는 더 다양한 일을 엄마가 조금이라도 젊었을 때 해야겠다는 마음이 든다.

지금이라도 이러한 다짐들이 늦지 않게 내 옆에 계신 엄마께 감사한다. 사랑해요 엄마!


나는 엄마처럼 못사는데 엄마라고 그렇게 살고 싶었을까? 엄마가 옆에 있을 때 왜 나는 이런 생각을 한 번도 하지 않았을까. 딸인 내가 이 지경이었는데 엄마는 다른 사람들 앞에서 얼마나 고독했을까. 누구에게도 이해받지 못한 채로 오로지 희생만 해야 했다니 그런 부당한 일이 어떻게 있을 수 있어. 언니. 단 하루만이라도 엄마와 같이 있을 수 있는 날이 우리들에게 올까? 엄마를 이해하며 엄마의 얘기를 들으며 세월의 갈피 어딘가에 파묻혀버렸을 엄마의 꿈을 위로하며 엄마와 함께 보낼 수 있는 시간이 내게 올까? 하루가 아니라 단 몇 시간만이라도 그런 시간이 주어진다면 나는 엄마에게 말할 테야. 엄마가 한 모든 일들을, 그걸 해낼 수 있었던 엄마를, 아무도 기억해주지 않는 엄마의 일생을 사랑한다고. 존경한다고. - 본문 262쪽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