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이란 무엇인가 - 예일대 17년 연속 최고의 명강의 삶을 위한 인문학 시리즈 1
셸리 케이건 지음, 박세연 옮김 / 엘도라도 / 201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죽음이란 무엇인가, 셸리 케이건> 세 가지 키워드
*들어가며
<죽음이란 무엇인가>는 그야말로 치밀한 논리로 '죽음'에 대해서 온갖 질문을 던져 준다. 어떤 답도 제시하지 않는다. 답을 준다면 그것은 물론 철학이 아니라 종교가 되겠지만.
*키워드 1- 대립(이원론 vs 물리주의, 공리주의 vs의 무론)
책을 읽으며 '이원론'과 '물리주의' 그리고 '공리주의'와 '의무론'의 대립적 관점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 보게 된다. 이원론과 물리적 관점은 영혼의 유무를 놓고 대립하며 공리주의와 의무론은 자살의 정당성(또는 도덕성)에 대한 이견을 보인다.
나는 '죽음 이후의 삶'에 대해 알지 못하고 영혼이라는 개념이 정확이 무엇인지도 모르지만 '열린 관점'에서 합리성을 추구해야 함을 느낀다. 즉, '영혼이 있든지 없든지' 간에 내가 선택할 수 있는 최선을 선택해야 한다.
이유는 죽음은 무척 중요한 문제이기 때문이다. 하물며 집하나 사는데도 여러 정보를 모으고 비교 분석하며 숙고하는데, 우리의 삶에 있어 참으로 중요한 '죽음에 관한 질문'을 너무 나이브(집중의 부재) 하게 대한다. 그렇다면 우리는 정작 중요한 것을 잃고 살아가게 될 것이다. 인류의 위대한 사상, 문학, 예술의 다수가 '죽음'에 관한 질문에서 비롯되었음을 우리는 알고 있다.
*키워드 2-영혼
영혼이 없는 오직 '육체의 삶'만 존재한다면 실은 어떻게 살아도 큰 상관없을 지도 모른다. '쾌락'만 추구하던지 '이기심'을 따르던지 말이다. 세계나 도덕, 신의 문제에 큰 호기심을 느끼면서 내 머릿속을 복잡하게 만들 필요도 없을 것.
그러나 이런 삶을 원하지 않는다. 인간은 분명히 무언가를 추구하고 있고 알고자 열망하고 있다. 이것은 '나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존재한다.'라는 데카르트 제1명제만큼이나 내게 선명한 것이다.
따라서 나는 머릿속으로는 세상은 물질에서 시작되어 물질에서 끝나는 가능성을 지니고 있지만 마음으로는 끊임없이 '앎'의 욕망을 추구한다.
이러한 '앎'에 대한 열망을 지닌 자가 진리 또는 진실됨에 근접해 간다고 느낄 때 솟는 환희는 무엇으로도 바꿀수 없을 것이다.
*키워드 3- 자살
아울러 '자살'에 대해 감정적으로는 반대하지만 철학적으로는 합리성과 도덕성에서 반대할 근거가 빈약함을 알고 '그렇구나'라고 약간 상심 비슷한 마음이 들었지만 이것은 오직 논리에서 나온 결론임을 곧 떠올렸다. 나의 머리는 '자살'이 합리적인 경우가 있음을 알지만 심장은 '절망의 끝'에 다다른 사람들 또는 상태에 대한 연민과 슬픔을 따른다.
*나가며
머리와 심장. 둘은 따로 놀지 않는다. 철학은 머리로만 하면 심장이 차가워진다. 심장으로만 하면 어리석어진다.
머리와 심장을 끊임없이 이원화하는 서양 철학으로서는 어쩌면 모든 문제는 영원한 미제가 될 것이다.(역시 부처님, 공자님 말씀이 최고다. '중도', '중용') 죽음의 문제도 마찬가지다.
머리로만, 심장으로만 이원화하여 재단한 모든 판단은 폭력이다. 부디 (자살을 포함한) 누군가의 죽음을 쉽게 말하지 않아야 하는 이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