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플라워 - 한 통의 편지에서 시작되는 비밀스런 이야기
스티븐 크보스키 지음, 권혁 옮김 / 돋을새김 / 2008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월플라워 : 본래의 의미는 무도회에서 아무도 상대해주지 않는 여성이라는 뜻이지만,
일반적으로 집단에서 따돌림을 당하는 사람을 가리킬 때 쓴다.
 
<월플라워>를 읽기 전, 이 책은 현대를 살아가는 모든 십대의 성장소설이며, <호밀밭의 파수꾼>의 뒤를 잇는 대단한 책이라는 이야기를 들었다. 물론 코웃음을 쳤다.
모든 십대의 성장소설? <호밀밭의 파수꾼>을 이어? 말도 안 돼.
하지만 <월플라워>는 정말 그런 책이다. 찰리는 뭔가로 인해 스스로를 ‘월플라워’로 만든다. 그러나 과연 찰리만 그러할까?
현대를 사는 우리들은 누구나 어느 시점에서 스스로를 월플라워로 만든다. 그 월플라워의 벽을 깨고 나오는 게 중요하다. 그 벽을 깨고 나오는 데에는 수많은 시행착오를 겪는다. 또다른 벽이 기다리고 있기도 하고, 깨고 나온 곳에는 무엇이 있을지 두렵기도 하다.
현대는 그런 시대고, 우리는 그런 존재들이다.
<월플라워>는 약물복용과 술, 담배, 섹스 등의 소재들로 인해 도덕주의자들의 공격을 받고 있다고 한다. 하지만 그런 소재들은 현대의 시대를 거슬러 가는 이기적인 도덕이 아닐까?
물론 모든 사람들이 반드시 겪는 소재들이며 모든 사람들이 반드시 겪는 내용이라고는 할 수 없다.
그러나 방황을 하는 현대의 청소년들이라면 어느 정도는 겪는 부분들이 아닐까?
그렇지 않다면 청소년들의 절대적인 지지를 받을 리가 없다.
어떤 이는 <월플라워>를 읽고 동경하기 때문에 지지를 받는 게 아니냐고 말할 수도 있다.
하지만 <월플라워>를 읽으면 동경의 마음을 품기보다는 스스로를 찰리에게 대입해 함께 성장하게 된다.
현대의 시대, 현실의 문제, 현재를 담은 성장소설, <월플라워>는 정말 대단한 책이다.
우리네 청소년들도 빨리 자신의 ‘월플라워’를 깨고 나올 수 있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