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중독 - 인간이 타인을 용서하지 못하는 이유
나카노 노부코 지음, 김현정 옮김 / 시크릿하우스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은 대뇌가 지나치게 발달한 나머지, 토끼와 달리 사고를 관장하는 대뇌 신피질이 크게 팽창했다.
대뇌 신피질이 인간의 번영과 생존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음은 틀림없는 사실이다. 오래도록 살아남아 종을 번영시키는 대가로 인간은 삶의 의미를 생각해야 하는 골치 아픈숙명까지 짊어지게 되었다. ‘지성이 있기 때문에 어리석음이 존재하며 어리석음이 없는 지성이란 존재할 수 없는 표리 관계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인터넷과 SNS는 인간의 지성과 어리석음을 어떻게 바라보아야 할지, 그 새로운 인식법을 제시한 것이라 봐도 좋다. - P34

그런데 한편으로 정의 중독의 대립은 오히려 양쪽의 수요와 공급을 충족시켜 주기도 한다. 혐오 발언 수준의 주장을 내뱉는 집단과 혐오 발언을 하지말라며 규탄하는 집단이 있다고 하자. 만약 어떠한 식으로든 해결이 되어 둘 다,
혹은 어느 한쪽이 사라진다면 거기에 속해있던 사람들은아마도 하루하루가 지루하게 느껴질 것이다.
눈앞에 있는 집단을 향해 "난 정의고, 넌 부정의다"라고말하며 쾌감을 느끼므로, "혐오 발언이다!" "그게 무슨 혐오발언이냐? 너야말로 혐오 발언 하지 마라"라고 싸우는 것은서로 도파민을 분출하도록 돕는 행위나 마찬가지다. 죽일기세로 으르렁대지만 정말로 죽어 버리면 곤란한 것이다.
옆에서 보면 무슨 한 편의 콩트 같지만 본인들은 진지하다. - P96

인간은 자신이 줄곧 말해 온 것, 해온 것, 믿어 온 것을 쉽게 바꾸지 못한다. 그리고 지금껏 남들에게 보인 모습과 모순되지 않게 행동해야 한다는 근거 없는 생각에 무의식적으로 얽매여 있다. 이를 심리학에서는 ‘자기일관성의 원리Self-consistency‘라 부른다. - P119

인간에게 이러한 부정적 피드백 기능이 처음부터 있었는지, 아니면 나중에 생겼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나 역시 이러한 양가감정이 뇌에 공존할 수 있는 이유를과학적으로 자신 있게 설명할 수는 없다. 단, 한 가지 유력한 가설은 다양한 가치관의 공존이 급격한 환경 변화와 새로운 가치에 한 세대가 대응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는 해석이다. 동적 평형Dynamic equilibrium으로 표현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를 통해 유전적 자질에 의존하지 않고도 환경변화를 예민하게 알아채 생존 전략을 재빨리 변경할 수가있다. - P122

우리는 책을 통해 다른 환경을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다.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평소라면 ‘절대 읽지 않을 책‘이나 ‘관심 없는 책을 고르는 것이다. 가능한 한 자신과 처지나 생각이 다른 저자의 책이나 지금껏 관심이 없었던 장르의 책을 일부러 선택하자. - P144

난 그래서 일부러 관심 없는 키워드를 검색해 보거나 평소에는 보지 않는 뉴스 기사를 적극적으로 열람해 본다. 평소의 자신과 전혀 다른 페르소나를 설정해 정보를 검색하는 것도 좋다. 아이가 없어도 육아나 어린이집 관련 문제를검색해 보고, 가 본 적도 없고 관심도 없는 국가 및 지역에서 화제가 되는 이슈를 찾아보고, 살 마음이 없는 부동산이나 반려동물의 정보를 검색해 보는 것이다. 또 자신과 대립관계에 있는 사람의 성장배경이나 가치관 형성 배경을 알아보는 것도 좋다.
그렇게 자신의 속성과는 거리가 먼 사람의 가치관, 고민,
관심사 등을 검색해 인터넷에서 추천하는 것과는 전혀 관계없는 정보를 접해 보자. 그렇게 하면 지적 편식도 예방할 수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상상하지 못한 새로운 세상과 지식을접하면서 유익한 사고 패턴을 학습할 수도 있을 것이다. - P14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