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드 라이징 레드 라이징
피어스 브라운 지음, 이원열 옮김 / 황금가지 / 201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은 그 누구도 평등하게 창조되지 않았다. 첫 시작부분, 영화나 혹은 영화의 트레일러에서 모든 것을 거친 주인공이 회상하듯, 혹은 예지하듯 말하는 것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글귀였다. 모든 것은 평등하지 않다, 계급은 당연하다, 라고 이해한 이 문장은 차별을 겪어보지 않고, 차별을 반대하는 나에게는 무척이나 가슴을 뛰게 했다. 불안함, 전개에서 나타날 피와 흥분의 혁명을, 그리고 모든 것을 달성한 주인공의 허탈함과, 안도, 그리고 만족을 예감하면서, 주인공은 차갑게 분노했고 나는 흥미로 불타올랐다. 나는 이런 이야기가 좋다. 혁멍의 불꽃과 전쟁의 폭력을 적어내린 이야기를 좋아한다. 레 미레라블을 좋아했고 일본의 건담의 이야기, 창궁의 파프나같은 이야기를 좋아한다. 주인공들이 살아남기 위하면서도 대의에 희생되는 것은 나에게 많은 것을 남기기 때문이다.

주인공인 대로우는 레드 계급이다. 작중의 묘사로 보면 여기서 레드란 가장 아래 계급이다. 가장 최상급은 골드다. 골드들은 깨끗한 피부와 강인한 육체, 그리고 권력을 갖고 레드는 험한 일로 다져진 육체와 빈곤함, 그리고 허기를 갖는다. 대로우는 레드 계급으로서 화성에서 땅을 파는 아주 위험한 일을 한다. 언제 죽을지 모르고, 항상 배가 고프다. 레드들은 험한 일을 하면서도 충분히 먹지 못하고 하찮은 이유로 사형당한다. 그들의 세계는 폭력의 계급으로 점철되어있는 것이다.

대로우는 마음 속에 불을 갖고 있다. 처음에는 레드들 사이에서의 불이다. 다른 채굴 클랜보다 위로 오르는 게 목표다. 위로 오르면 먹을 것이 더 주어진다. 하지만 정치는 그것을 용납하지 않는다. 대로우는 다른 이야기의 주인공들처럼, 부당하게 잃은 소중한 사람을 보며 불이 아니라 폭풍이 된다. 계급을 뒤집고 세계를 다시 쓸 불의 폭풍이 된다. 이렇게 대로우의 혁명이 시작된다.

레 미제라블과는 다르게 대로우는 골드들 사이로 숨어든다. 그리고 점차 골드들처럼 바뀐다. 그는 자신의 혼돈을 혼란스러워 하면서도, 불을 잊지 않는다. 잃지 않고 계속해서 싸우고 살아남는다. 그리고 그는 충격적인 선택을 한다. 대로우는 레드라이징 1권에서, 골드가 된다. 하지만 이 중간에서도 반전이라고 할 만한 것들은 숨어있다. 결말의 복선이 될 캐릭터들이 여럿있고, 아마 내가 놓친 복선도 있을 것이다. 연말에 조금 더 느긋해질 때 더 꼼꼼히 읽어볼 생각이다.

가장 헉, 하고 놀란 것은 대로우말고 다른 레드의 존재였다. 하지만 대로우의 생각뿐일지도 모르는 일이긴 하다. 단어의 사용일 뿐이니까. 그러한 단어를 쓰는 자가 과연 또 없을까? 게다가 골드들은 골드 사이에서조차 계급경쟁을 더 고조시킨다. 생존경쟁을 통한 계급의 고착화. 패자와 승자를 나누고 아이들에게 학교라는 이름으로 노예제와 승자의 폭력을 가르친다. 그야말로 이 세계가 얼마나 폭력으로 점철된 부조리함인지 보여주는 것같다. 헝거 게임이 생각나기도 한다. 헝거 게임도 생존을 위한 투쟁을 하게 몰아 부쳐 그들의 폭력을 정당화 했다. 헝거게임에서는 구역별로 통합되지 않고, 폭력에 굴복하게 하는 생존게임이라면 이 골드들의 생존게임은 더 악랄하다. 그들을 지배하는 그 계급의 정당화를 몸에 배어들게 하는 생존게임이니까. 냉정하게 생각해보면, 책이 진행되면서 얼마나 골드들이 역겨운 제도에 취해 아무런 생각도 없이 사는지 처참하게 보여준다. 그리고 대로우는 그 가운데에서 점차 골드처럼 생각하게 된다. ... 과연 혁멍은 어떻게 될까?

나는 마지막 선택을 보며 안달이 났다. 다음 권을 읽고 싶다는 것. 대로우의 변화와 삶의 전쟁은 흥미진진하다. 손에서 놓지도 못하고 끝까지 읽어내렸다.
과연 골드가 된 대로우는 또다시 어떻게 변해갈까. 나는 그의 불꽃이 어떻게 될지 무척 궁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