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엇지 최태성 한국사 강의만화 1 : 전근대편
최태성 지음, 김연규 그림 / 메가스터디북스 / 2019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큰★별쌤 최태성 선생님은 EBS 한국사 명강사로 워낙 유명하신 분이라

저도 EBS에서 한국사 무료강의를 여러번 들은적이 있어요.

중고등 학창시절부터 한국사를 좋아하기도 했고,

그 이후에는 공무원 준비를 하기도 했었기에,

저와 한국사는 정말 뗄레야 뗄 수 없는 그런 관계였어요.

ogq_5747936e4323a-19

한국사 교재와 기출문제로만 한국사를 접했던 저에게,

다음엇지 최태성 한국사는 완전 신세계를 펼쳐주었어요.

왜 아이들이 만화를 찾는건지 알겠더라고요.

그런데 만화가 일본식 한자 용어라는 사실을 이제서야 알게 됐어요.ㅠ.ㅠ

다음엇지는 4칸 만화 특유의 표현을 의미하는 순우리말로,

다음은 어찌될까?

다음칸을 보지 않고서는

내용이 어떻게 이어질지 알 수 없다는,

칸과 칸 사이의 긴장감을 드러낸 말이에요.

 

 

 

 

 

 

한국사 쉽고 재미있게 배울 수 없나요?

500만 랜선 제자의 고민에 큰별쌤이 만화로 답한 책이 바로

다음엇지 최태성 한국사예요.

만화가 가장 이해하기 쉬운 기록과 소통의 수단이기 때문에,

초등생, 중,고등학생 그리고 일반인까지 한국사와 친해질 수 있었으면 하는

큰별쌤의 마음이 느껴지더라고요.


 

 

 

 

 

1권은 전근대편으로 구석기 시대인 고대부터

자본주의 경제를 향해 달리는 조선의 모습까지 총 38번째 만남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 만남마다 해시태그#를 사용해서 중요 키워드를 처리해놨어요.

 

 

 

 

 

 

 

첫 만남인 # 돌멩이 속에 숨겨진 세상이에요.

 #구석기 시대 #주먹 도끼 #이동 생활 # 배고픈 평등사회

해시태그로 구석기 시대를 한번에 정리해볼 수 있어요.

성인뿐만 아니라 아동들도 함께 읽을 수 있도록,

채집이나 수렵 같은 아이들이 이해하기 힘든 단어들도 알기 쉽게 풀어 설명해놓았어요.

 

 

 

 

 

 

 

중간중간 퀴즈와 보너스 퀴즈가 나오는데,

주로 중요하지만 쉽게 헷갈리거나 틀리는 문제들이더라고요.

청동기 시대에는 농기구를 무엇으로 만들었을까오?

당연히 청동기라고 생각하겠지만,

청동은 구하기도 힘들고 만들기도 어려워

청동기시대에는 돌로 농기구를 만들어 사용했다는 사실 !

초등학교 3학년 사회교과에도 문제로 자주 출제되는 부분이에요. ㅎㅎ

 

 

 

 

 

 

고려하면 제일 먼저 떠오르는게 고려청자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잖아요.

고려의 문화,예술,종교에 대해서도 잘 읽어볼 수 있어요.

고려는 불교의 나라로,

고려의 불상, 탑 그리고 건축양식(주심포,다포양식)을 자세히 볼 수 있어요.

상감첨자를 만드는 방법을 예전에 교과서에서 읽은적이 있었는데,

다시 이렇게 책에서 보니 옛생각이 나면서 또 새롭더라고요.

 

 

 

 

 

 

위화도 회군으로 조선을 건국한 이성계와 그 세자들의 가계도예요.

No.1 이방우부터 둘째 부인인 신덕왕후 강씨의 아들 방번과 방석까지도 나와요.

제1차 왕자의 난과, 제2차 왕자의 난을 통한

최종 승리자는 강력한 실력자 이성계의 5번째 아들 이방원이에요.

바로 우리가 알고 있는 태종이지요.

 

 

 

 

 

 

곧 개봉을 앞두고 있는 세종과 장영실의 이야기를 그린 『천문』,

세종때 무수한 발명품을 만들어낸 장영실도 유명하지만,

새로운 조세제도인 전분6등법과 연분9등법도 정말 대단했었죠.

토지의 비옥도와 풍흉의 정도에 따라 1결당 쌀 4~20두를 내도록 하는 공법으로,

무수한 논의를 거쳐서 만들어진 조세제도라네요.

예전에 공부할때는 토지는 전분 6등급, 풍흉은 연분 9등법으로,

열심히 계산하는 법만 외우며,

정작 만들어진 과정조차 생각지 못했어요.

다음엇지를 읽으면서 이 조세제도가 시행되기까지,

수많은 조사와 연구로 무려 14년이 걸렸다는 것을 이제야 알게 됐네요.

 

 

 

 

 

다음엇지 1권 전근대편을 다 읽고 나니,

2권 근현대편이 너무나 읽고 싶어졌어요.

2권에서 가장 처음 만나게 될 인물이 바로 흥선대원군이라고 하네요.

쇄국정치를 고수했던 흥선대원군, 그리고 그와 반대되는 정치를 펼쳤던 명성왕후까지..

2권은 시작부터가 엄청난 아우라를 펼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요.


역사는 사람을 만나는 인문학이라고 처음과 끝에서 강조하신

큰별쌤 말씀, 잊지 않고 기억할게요.

제가 다 읽었으니, 이제 저희 초3 아드님도 읽게 하려고 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