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이 만만해지는 책 - 넷플릭스부터 구글 지도까지 수학으로 이루어진 세상의 발견
스테판 바위스만 지음, 강희진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스웨덴의 수학철학자 스테판 바위스만이 수학을 잘알못인나와같은 이들에게 알려주는 "야 너희들이 맨날 접하는게수학이야!"를 배운 책 <수학이 만만해지는 책>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그는 수학이 인간의 사고 방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연구중이라고 해요. 수학이 어렵지만 우리 삶속에 쓰이는 수학을 공식이 아닌 원리의 이해로 풀어준 책입니다.
수학이라는 복잡한 공식이 두통이 날 것 같지만 현실 속에선 대단한 역할을 해내고 있는데 작가는 자연스레 알게된수학의 다양함과 유용함이 중요한것을 깨달았습니다. 수학이 무작정 싫다는 사람들에게 설득하고 싶어 책을 썼다고 합니다.
실용적 관점, 철학점 관점으로 바라보는 작가의 수학이 만만해지는 책을 잠시 소개하자면 이렇습니다.
구글은어떻게 가장 빠른 길을 알아낼까라는 첫 주제로 시작합니다.
수작업으로 지도 읽기를 잘하는 재능을 가진 이들을 구글 맵스에 투입하면 효율적일까?를 생각해보며 생각만해도 수작업의 골치아픈 경로 재 검색과 다시 찾거나 시원치 않을 일들을 예상해보니 비효율 적입니다.
구글 지도는 늘 인간의 능력보다 앞서는 것은 아니지만 거리가 길어지면 효율성이 떨어지고 다시 다양한 트릭을 활용하기도 합니다.
꽤 많은 양의 수학이 늘 동원되고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 되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이 직접하는 것보다 해결책이 되어 줄 수 있냐고 묻는다면 그렇다고 말할 수 있는건 1초당 엄청난 양의 계산이 가능하기 때문이겠지요.
구글지도를 통해 노선을 타고 이동할 장소를 찾은 후에 열차를 기다린다고 가정합니다. 스마트폰의 넷플릭스앱을 켜면 내 취향과 일치하거나 추천하는 영화의 %뜨거나 알림으로 예정작을 알려주기도 해요.
넷플릭스는 데이터 베이스 활용으로 내가 뭘 자주 봤었고 장르를 좋아하는지 기다리는지 꿰고 있네요. 이 또한 직원을 고용하여 수백만에 달하는 회원의 영화 추천은 컴퓨터가 추출해 주는 것이 낫다는 것입니다.
어딜 가나 매 순간 마주치는 수학을 작가는 말해주고 싶어합니다.넷플릭스와 구글은 수학의 한 분야인 그래프이론에서 파생한 서비스로 여기서 그치지 않고 스마트폰과 결합하여 통계를 내고 여론 조사를 하는 수학 또한 우린 대선 선거 투표 등에도 사용하고 있습니다.
커피를 데우기에 적절한 온도를 계산하는 완벽한 온도를측정해서 커피 추출하여 개운한 아침 에스프레소 한 잔의 여유 또한 수학 선생님의 공식들이 뒤에 있었네요.
이렇게 우리 삶에 가득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노력의 산물인 수학 덕분에 내가 검색만으로 여유롭게 생활하고 시간을 줄여가며 생활할 수 있구나 하고 생각해 보는 시간도 되었습니다.
출판사에서 도서를 지원받았고 저의 주관적인 서평을 작
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