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벌레와 메모광
정민 지음 / 문학동네 / 201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가 아는 정민 교수님은 홍석주 등을 다룬 "조선 후기 고문론"으로 박사학위를 따신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주로 18세기에서 19세기의 한문학을 주요 소재를 삼고 수많은 책을 집필하셨습니다. 일반 대중이 한문을 해석하면 읽기 어려운 상황에서 교수님은 한문을 국문으로 번역하고 거기에 담긴 뜻이나 당시의 역사 문화적 상황이나 작가의 이력이나 인생 등을 덧붙이면서 수많은 한역 책과 문학적이면서도 인문학의 여러 분야를 두루 살피면서 여러가지 비평이나 해석을 가미한 책들을 많이 내셨습니다. 김정운의 에디톨로지에서도 언급하였지만 "편집학"의 대가라고 감히 불릴만 합니다.

  이 책은 교수님의 여러 두꺼운 책보다는 일반 대중이 보다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책이라고 생각합니다. 사실 연암 박지원의 글을 다룬 "비슷한 것은 가짜다", 다산 정약용의 전방위적 지식 경영법의 계보를 심층적으로 분석한 "다산 선생 지식경영법" 과 같은 책보다 읽기도 편하고 교수님의 책을 읽어본 경험이 있는 독자 입장에서는 더 쉽게 그리고 과거의 책들이 배경지식이 되어 "질서"를 할 수 있는 책이라고 생각합니다. 마치 수많은 저서가 "책벌레와 메모광"이라는 맷돌에 갈아져서 나온 액기스라고나 할까요. 그러면 이책의 주제는 1. 책벌레 그리고 2. 메모광 이 됩니다. 잠시 살펴 보겠습니다.

 

  1. 책벌레

   교수님의 "책벌레"는 책에 사는 맥망과 같은 벌레일 수 있고, 책에 찍는 인장, 은행잎같은 책갈피, 책을 말리는 포쇄 행위, 용서인과 같은 책배끼는 직업, 배껴쓰기 공부법, 책과 관련된 아홉 가지 활동 등을 의미하는 다중적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책을 사랑하면 책벌레라고 부를 수 있는 것이지요. 이덕무와 같이 삶에서 책을 빼고 나면 아무 것도 남는게 없다는 의미입니다. 특히 다산의 공부법인 "초서"법은 상당히 인상적입니다. 제대로 된 공부를 하기 위해서는 좋은 스승과 바른 공부법이 전제되어야 가능한 것입니다.

 

  혼날 것이 지레 겁이 난 색성이 스승의 노여움을 조금이나마 누그러뜨릴 생각으로 " 선생님! 요즘 그냥 놀지 않고 "상서"를 열심히 읽고 있습니다" 하는 내용을 편지에 담았던 듯하다. 이 대목을 읽은 다산은 "옳지. 너 잘 걸렸다" 하며 "상서"는 혼자 읽으면 안 되고 제대로 읽으려면 곁에서 방향을 바로잡아줄 지도가 필요한데 어째서 내게로 오지 않는 것이냐, 계속 그렇게 한다면 다시는 너를 보지도 않겠다고 으름장을 놓은 사연이다. (p.103)

 

  하지만 무엇보다 다산이 강조한 공부법은 초서다. 초서란 책을 배껴 쓰는 것을 말한다. 한 권을 통째로 베끼기도 하고, 필요한 부분만 발췌해 옮겨 적기도 했다. 때로는 주어진 편집 지침에 따라 카드 작업 하듯이 원하는 항목을 간추려내는 작업도 시켰다. 그렇게 배껴 쓴 책은 수초 또는 총서란 이름으로 묶어 정리시켰다. (p.105)

 

  책벌레는 이렇듯 온몸으로 정밀하게 공부하고 책이 곧 자신이라는 생각으로 삶을 살아가는 존재를 의미합니다.

 

  2. 메모광

    메모광이란 "메모"라는 외래어와 광, 즉 "미치다" , "미친놈"이라고 볼 수 있는 한자와 결합한 단어입니다. 메모광은 공부광을 의미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공부와 관련된 행위는 메모광의 특징이라고 생각합니다. 조선 지식인들은 책을 읽을 때 그냥 눈으로만 보거나 단순 암기식으로 외우기만 하지 않았습니다.

 

  메모는 기억의 한계로부터 생각을 지키려는 방어기제다. 메모가 없이는 기억은 지워지고 생각도 쉬 떠난다. 공부는 기억과 생각 관리가 중요하다. 퍼뜩 스쳐간 생각은 그저 나온 것이 아니다. 떠오른 생각은 그때그때 붙들어두지 않으면 연기처럼 사라지고 만다. 운 좋게 되살려도 처음 그것과는 다르다. 붙들려면 적어두어야 한다. 적어둘 때 내 것이 된다. 적어둬야 또렷해진다. (p.130)

 

  메모는 잊고 있던 내용이라도 생각의 결을 따라 결국 비슷한 경로로 같은 지점에 도달한다는 점이다. 도달하고 나서야 데자뷔라고 하는, 왠지 친숙한 기시감이 들어 문득 예전에 한 차례 똑같은 과정을 거쳤던 적이 있다는 사실을 문득 깨닫게 된다. (p.133)

 

  선인들의 메모 관리법은 현재에도 적용될만한 실용적이고도 효율적인 방법들이 많습니다. 항아리나 나무 궤짝을 활용하여 메모를 분류하면서 편차를 정하는 방법들을 사용하였습니다.

 

  생각은 누구나 한다. 하지만 그 생각을 아무나 적지는 않는다. 적을 때 생각은 기록이 된다. 덮어놓고 적기만 할 게 아니라 계통과 체계를 가지고 적으면 그 효과가 배가 된다. (p.149)

 

  선인들은 장거리로 여행을 갈 때도 항상 문방사우를 지참하고 다녔답니다. 연암은 청나라에 갈 때도 지필연묵과 빈 공책을 챙겨 다녔다고 합니다. 말안장에 걸친 주머니에 넣어두고 길가는 도중에 필요할 때면 언제든지 자유롭게 메모할 수 있도록 준비하였다고합니다.

 

말에서 내려 관광을 하다가 잠깐씩 먹을 갈아 눈앞의 광경을 공책 위에 포획했다. (p.158)

 

  위대한 학문의 기저에는 메모의 습관이 있음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책 속 메모를 보면서 자신의 생각을 키울 수 있고, 여러 학설이나 의견을 논리적으로 비교하고 비판할 수 있다고 저자는 강조합니다.

 

  精思力踐 妙契疾書 정밀하게 사색하고 힘써 실천하며, 깨달음이 있으면 재빨리 기록했다. (p.219)

 

  장횡거의 인간과 학문을 주자가 평가한 글입니다. 여기서 "질서법" 이 소개되며, 성호 이익이 등장합니다. 성호의 학문은 메모로 시작해서 메모로 끝나는 질서법을 공부법으로 평생 활용했습니다.

 

  성호 선생은 사소한 것도 놓치지 않고 꼼꼼히 기록했다. 그의 메모벽은 거의 습성처럼 되어 일상에서 일어난 소소한 일까지도 놓치지 않고 적어두었다가 이것을 사색의 자료로 삼곤 했다. .... 중략 ... 사색은 막연히 구름 잡듯 해서는 안 되고 논리적 정합을 따져서 꼼꼼히 묻고 찬찬히 대답하는 과정이 함께 이루어 져야 진전이 있다. 그것은 어디까지나 작은 메모에서 시작한다. (p.229)

 

  이 책은 모든 연령층의 독자들에게 우리 선인들의 "책을 향한 사랑과 기록에 대한 열정을 볼 수 있는" 다양한 공부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과거의 공부법을 다룰 때 다소 추상적인 공부방법, 예를 들면 "학문의 도나 사상"을 저자는 이야기 하지 않습니다. 조선의 지식인이나 후치스카 지카시와 같은 일본 학자 등 동아시아를 아우르는 한국, 일본, 중국의 여러 학자의 소소하지만 매우 정밀하고 성실함이 묻어나는 공부 습관들을 이야기하고 있어서 21세기 현대인의 공부 습관을 보다 개선시키고 발전해나갈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