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한 어린이 말모이
정도상 외 지음, 허지영 그림, 겨레말 큰사전 남북공동편찬사업회 감수 / 창비교육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총, 균, 쇠』(2009, 문학사상사)부터 『대변동』(2019, 김영사)에 이르기까지 많이 읽힌 도서를 출간한 작가 재레드 다이아몬드 교수는 언어를 12개 이상 익혔고, 최근에도 새로운 언어를 배우는 중이라고 한다. 왜 그렇게 많은 언어를 체득하려고 했을까 생각해보면 ‘애정’이라는 단어가 떠오른다. 문화인류학자이자 문명연구가인 그가 수많은 문화권을 이해하기 위해 탐구하다보면 애정이 어리게 될 것이다. 몇박몇일 휴가가 생겨 잠시 다녀온 해외 여행에서도 우린 그렇게 그 여행지와 연결고리를 만들지 않은가. 게다 연구를 위해 그 지역을 들여다 본다면 애정이 어리고, 자연스레 그 나라 언어로 소통하고 싶어지는 건 자연스러운 수순.

 

2018년 4월 27일, 남북정상들의 역사적 만남이 생중계 되던 그날의 떨림을 기억한다. 군사분계선을 넘으며 남측 땅을 밟던 북한의 국무위원장의 모습을 보며, 지난했던 시간에 비해 너무 간단했고, 유쾌했으며, 이렇게 하려면 되는 것을 우린 오래 줄다리기를 해왔던거구나 싶었다.

 

물론 다시 안개 저편으로 앞으로의 나가야 길이 일개의 평시민은 알 수 없으나, 그 떨림을 기억하고 있는 한 자연스레 마음이 가는 북녘땅 아이들의 문화, 언어가 궁굼할 수 밖에 없다.

 

 


평화 시대를 여는 통일 선행 학습

낯설고 먼 북한을 우리 곁으로 바짝 당겨오다!

 

 


1부에서는 1~2학년 어린이들의 눈높이를 고려해 우리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북한의 소학교 생활과 관련된 말

2부에서는 3~4학년 어린이들의 눈높이를 고려해 시험 점수, 놀이공원, 간식 등 북한 어린이들의 일상생활

3부에서는 5~6학년 어린이들이 읽기에 알맞게 음악, 자연 등 과목별 수업과 관련된 말과 체육 용어나 속담

 

 

 

 

1) 북한 어린이는 7살이 되는 해에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소학교'에 입학한다. 입학은 남한보다 한 달 늦은 4월 1일에 하는데, 이날을 '새 학년 개막일'이라고 부른다고 한다. 입학할 때 만난 담임선생님과 졸업때까지 만난다는 점도 우리와 다르다.

 

2) '빼기'를 '덜기'라고 한다. 덜어내다를 의미하는 모양이다. 북한에서도 수학은 매우 중요한 과목이라고 한다. 어렵기도 마찬가지. 필요한 부호들 이름은 다음과 같다. + 더하기표, - 덜기표, = 같기표, <,> 안같기표.

 

3) 굉장히 귀여운 말이 있어 소개하고 싶다. 대표적인 북한 동요중에 '깨꼬해요'가 있는데 여기서 '깨꼬'는 '까꿍'이라는 뜻이다. 남한과 북한 어린이들이 모두 즐겨부를 동요에는 <반달>, <고향의 봄>이 있다.

 

4) 남한 어린이들이 즐겨먹는 와플, 카스텔라, 도넛, 햄버거가 북한에도 있다. 다만 우리말로 고쳐 부른다. 구운빵지짐, 설기빵, 가락지빵, 고기겹빵. 최근에는 '와플'이라는 말도 쓰고, 피자를 '삐자'로 부르기도 한다네요.

 

5) 새해인사도 다르다. "새해 오래오래 앉아 계세요." 오래 앉아 있으라는 건 오래 건강하라는 뜻이라 하니, 남한의 인사말은 다르지만 의미는 같다는 점을 보아 통하는 부분이다.

 

6) 북한에도 라면이 있을까? 그렇다. '즉석국수'나 '꼬부랑국수'로 불린다. 그렇다면 컵에 담긴 라면은? 있다. 북한에도 건더기 스프와 라면 스프를 넣고 물을 부으면 5-6분 후에 완성되고, 그 맛으로 사랑받는 먹거리라고 한다.

 

더 많은 문화를 만나고 싶다면, 『남북한 어린이 말모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