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크라테스의 변명·크리톤·파이돈·향연 (그리스어 원전 완역본) - 플라톤의 대화편 현대지성 클래식 28
플라톤 지음, 박문재 옮김 / 현대지성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읽다보면 이렇게 자기변론을 해 나가는 법정 진술의 상황을 상상해 보게 된다. 그러다 보면 의뢰 이렇게 오래전부터 이런 방식이 자리 잡았다니 굉장히 성숙된 시민정치이다.’ 라는 오류에 빠질 수 있다.

먼저 당시의 시대적 상황의 이해가 있어야 하겠다. 고대 그리스를 설명할 때 빠질 수 없는 단어가 민주주의일 것이다. 지금도 민주주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나라가 많은데 2500년도 더 전에 민주주의가 가능했다니 참 대단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아테네에서는 국회의원과 같은 사람을 뽑아서 정치를 맡기는 간접 민주주의가 아니라 시민들이 직접 민주주의를 실행했다. 그런 놀라운 사실이 가능했던 건 수많은 노예와 여성, 아이들을 뺀 아주 극소수만이 참여했던 엄청났던 차별을 빼놓고는 이야기 할 수 없는 것이다.

결국 먹고사는 문제는 노예와 여성들에게 내맡겨지고, 시민이라 불리우는 이들의 특권층들은 만날 토론으로 정치와 철학을 논하였으니, 훗날 촉망받는 지성인으로 주목되지만 그 뒤에 배척 당한 수많은 이들의 삶이 있던 시대였음을 잊어서는 안될 것이다.

 

책으로 돌아가 보면,

소크라테스에 관한 지식이 전혀 없어도 잘 읽힐 만큼 번역이 잘 되어 있다. 또한 역자의 자세한 설명이 주석에 옮겨있는데 이 또한 얼마나 자료조사를 했을지 알 수 있는 대목이다. 본문 옆에 아라비아 숫자를 발견할 수 있는데, 세권짜리 플라톤 전집이 있는데, 그 후 플라톤의 저작들을 번역하고 연구하는 사람들이 쉽게 참조할 수 있도록 그 판본의 쪽수는 아라비아 숫자로, 판본의 단락은 로마자로 표기해 두었다. 원문을 함께 보기 원하는 분들에 대한 배려가 아닐까 싶다.

 

 소크라테스가 고발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소크라테스라는 현자가 있는데, 그는 위로는 하늘에 있는 것과 아래로는 땅 밑에 있는 것을 연구해서 궤변을 정설로 만드는 자.

청년들을 부패시키고, 나라가 믿는 신들이 아니라 아테네 사람들이 알지 못하는 새로운 잡신들을 믿는다.”

이런 모함은 그를 법정에 서게 하였고, 끝내 최후의 날을 맞이하게 된다.

플라톤은 소크라테스의 변명, 에우티프론, 크리톤, 파이돈 등 네 편의 대화편을 통해 자세하게 묘사하고 있다.

 

그는 자신의 이익을 위한 일이나 국가의 일에 관심을 갖기 전에, 먼저 진리를 아는 일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가르치는 것을 평생의 업으로 삼고 살아왔다고 말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