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과를 내는 강점 전략
다나카 유이치 지음, 이성희 옮김, 서승범 감수 / 두드림미디어 / 202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두드림미디어 출판사로부터 도서 제공받아 직접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성과를 내는 강점 전략

다나카 유이치 지음 / 이성희 옮김 / 서승범 감수

두드림미디어

18000원

회사에서든 대인관계에서든 언제 어디에서나 써먹을 수 있는 진정한 강점을 찾는 방법을 알기 위해 책을 읽게 되었어요

실전에 써먹을 수 있는 진정한 제 강점이 무엇일지 궁금하네요

저는 남이 말해주는 피드백 아니면 책에서 보며 이런 것도 강점이 될 수 있구나 하며 강점을 찾았었는데 제3자의 눈으로 치우치지 않은 시야로 저를 바라보며 말해주는 피드백과 저의 디테일을 알고 말해주는 남의 평가가 나만의 강점이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강점은 전문성이라고도 하는데

절대적인 전문성으로 승부할 수 있는 카리스마형과

남들이 시키는 일은 잘하지만 남들보다 뛰어나게 잘하는 것이 없는 상황에 맞춰 적응해나가는 방식인 서포터형이 있다고 합니다.

자신의 신념을 끝까지 밀고 나갈 수 있는 카리스마형 사람들은 자신만의 강점을 갈고닦으며 좋아하는 일과 하고 싶은 일이 명확하게 정해져 있어요

서포터형 사람의 강점은 절대적이 아닌 상대적인 것이라 상대나 주변 환경에 따라 그 가치는 크게 변한다고 하네요

기술이 좋아도 받아들여져야만 강점으로 쓸 수 있는 것이니까요..

'성과는 상대방이 인정하고 만들어주는 것입니다

아무리 실력이 뛰어나도 직속 상사나 회사가 만족하지 않으면 성과를 낼 수 없습니다'




'자기중심적 관점에서 강점을 생각하는 것은 시간 낭비입니다'

나에게 초점을 맞추지 않고 남에게 초점을 맞추며 상대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상대에 대해 잘 이해하면서 상대방이 필요로 하는 것을 꾸준히 제공하고 나면 강점을 파악할 기회가 생긴다고 합니다.

주변 경쟁자들이 하고 있지 않고 나 자신만이 할 수 있는 것을 찾는다면 진정한 강점과 더 나은 성과를 낼 수 있는 방법이라네요

기존의 자기분석과 자기이해와는 전혀 다른 방법으로 접근해야 하고 상대방의 관점에서 달리 생각해야 합니다




진정한 강점을 만들어내는 활동에는

목표 설정을 우선으로 하고 그다음 상대 축을 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답니다.

처음부터 강점을 찾기란 어려운데요

강점, 장점을 찾았다고 해도 상대방에게 도움이 될지 안될지는 모르고

주관적인 자기 의견과 자기 판단으로는 남들이 인정하는 강점이 되기 어렵기 때문에 단계별로 찾는 게 중요하다는데

잠재적인 고민거리를 잔뜩 끌어내고 부정적인 감정도 있는 그대로 말로 적어보고 뭐가 부족한지 직접적으로 아는 게 꽤 중요할 것 같네요

사람들은 생각보다 스스로 무엇을 원하는지 모르는 경우가 많다고 하니 글로 적으며 진정 원하는 게 무엇인지 찾고 고민거리 중에 중요도가 높은 것들부터 하나씩 해결해나가는 방법으로 상대 관점을 통해 진정한 강점을 찾아보는 시간을 가져야겠습니다

성과가 나지 않는 사람들의 공통점이 내향적인 관점이라는 것에 공감하며 저도 다시 한번 저를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었어요. 자기 판단이 큰 착각을 내기도 한다는 것.

제3자의 눈과 상대 중심적 관점으로 파악하는 방법을 연구해야겠네요!

진정한 강점 찾아내는 활동으로 꾸준히 나아가야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