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환자 혁명 - 약과 병원에 의존하던 건강 주권을 회복하라
조한경 지음 / 에디터 / 2017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환자혁명> 저자 조한경 “美기능의학 짜깁기했을 뿐”
https://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5064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환자 혁명 - 약과 병원에 의존하던 건강 주권을 회복하라
조한경 지음 / 에디터 / 2017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청년의사 홈페이지에 ‘환자혁명‘을 비판하는 글이 올라와 있습니다. 책을 사기 전에 그 기사를 먼저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시 페미니즘의 도전 - 한국 사회 성정치학의 쟁점들
정희진 지음 / 교양인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모든 남성들이, 특히 나같은 60대의 남성들이 꼭 읽었으면 한다. 장수 사회가 되어 오래 살게 될 가능성이 많고 결국 누군가의 도움으로 마지막 삶을 꾸려야 하기 때문이다. 그 마지막 도움을 줄 사람도 여성일 가능성이 많기 때문이다. "타인의 고통에 둔감한 남성성과 결합한 추진력"부터 버려야 한다. 거기에 알 수 없는 "분노와 피해 의식"에 대한 해법이 있을 것이다.


"(33쪽) 남성의 분노와 피해 의식에 동의하지 않지만 공감한다. 동의하지 않는 이유는 여성이 가해자가 아니기 때문이다. 남성 대다수가 분노하는 '우먼 프렌들리(여성 친화)' 사회는 지배 계층의 남성이 만든 남성 중심 사회의 '부작용' 혹은 이면이다. 동시에 동의하지 않지만 이해하는 이유는, 남성은 성장 과정에서 여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감정 관리에 서툴고 인간관계에 무능하게 사회화되었기 때문이다. 변화한 현실 앞에서 대응 또한 미숙할 수밖에 없다.

이 역시 정확히 말하면, 피해가 아니다. 여성에 비해 남성은 남을 배려하거나 비위를 맞추거나 타인의 눈치를 볼 필요가 없기 때문에 '획득된 능력'이다. 이제까지 이런 '능력' 때문에 편하게 살았지만 갑자기 시대가 달라졌다. 예전에는 타인의 고통에 둔감한 남성성과 결합한 추진력을 강한 리더십으로 인식했다. 요즘 이런 캐릭터는? 실업자가 되기 좋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시 페미니즘의 도전 - 한국 사회 성정치학의 쟁점들
정희진 지음 / 교양인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회유는 폭력인가? 저항으로서의 폭력은? 솔직히 필자는 폭력이 무엇인지 모르겠다(220쪽)" 정희진 작가는 ‘폭력이 무엇인지 모르겠다‘고 했지만 사실 독자에게 폭력의 의미를 다시 물어보라고 환기하는 것이다. 이 책의 모든 문장은 이렇게 우리에게 흔히 말하는 단어를 의심해볼 것을 요구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림으로 읽는 통증이야기 - 김준서 박사의, 우리가 잘 모르는 다양하고 재미없는 통증에 대한 이야기
김준서 지음 / 봉성출판사 / 2018년 11월
평점 :
품절


서점에서 책을 봤다. 정성들여 만들었다. 신체해부도도 그림의 크기에 비해서는 선명하게 쏙 들어온다. 설명도 괜찮아다. 일반인들이 읽기 쉽게 쓰려고 애쓴 흔적도 역력했다. 그러나... 왜 전문용어가 난무하는 책에 색인이 없을까? 색인이 있어야 필요한 통증에 대한 조언을 구할 수 있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