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의 인문학 - 돈의 흐름을 읽고 경제의 정곡을 찌르는
가야 게이치 지음, 한세희 옮김 / 문예춘추사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평] 부자의 인문학 /가야게이치 지음/한세희 옮김

제목만 보았을 때는 ' 부자들은 인문서적을 많이 읽는다' 는 강조와 함께 '부자들이 읽는 인문학 서적들은 이러이러한 것들이 있다. '뭐 이런 뻔히 예상되는 책인 줄 알았다. 들어가는 글에서 밝혔듯이 책의 주제는 명확하다. 부자가 되고 싶으면 반드시 인문학을 공부해야 한다는 주장과 인문학이라고 해서 무조건 부자가 되는 것이 아니라 인문학에는 '돈을 버는 인문학'과 '돈을 쓰는 인문학'이 있다는 구분을 가지고 이 책을 읽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책의 구성은 총 6장으로 사회학, 경제학, 수학, 정보공학, 철학, 역사학으로 나누어져 있고 각장의 끝에 중요한 정보는 초심자를 위하여 한 번 더 기록해 강조하였다. 각장은 서로 연결고리는 없어서 읽고 싶은 분야의 장을 우선 읽어보는 것도 방법이다.

돈에 관한 사고 판단력 배우기 편에서 수학적 인문학에 관하여 설명한다. 그중에서 귀납법과 연역법을 설명하는데 대부분의 사람은 귀납법이 익숙하지만 오히려 연역법을 잘 활용하는 사람이 부자가 된다는 것이다. 자산가들이 귀납법이니 연역법이니를 의식하지 않아도 그들의 생활을 지켜보니 연역법에 가까웠다는 것이다. 즉 누구나 생각하는 귀납적 사고가 아니라 그들과 다른 독특한 발상을 해야만 자산가가 된다는 것이다. 철학 편에서는 관념론과 유무론으로 설명한 부분이 인상적이었는데 흔히들 기업주의 생각의 태도를 관념론과 유물론의 예를 들어 살펴보면 이해가 쉽겠다. 한때는 가족 같은 회사, 평생직장 같은 말들이 자연스럽던 시절이 있었다. 지금이야 말도 안 되지만 자기가 이 회사에 없어서는 안되는 사람이라 여기고 내가 없으면 회사가 안돌아 갈 것이라고 생각하던 시절이 있었지만 지금의 대부분의 기업문화는 그 사람이 없어도 구조적으로 업무에 차질이 없게 만들어져있다. 이것 역시 구조주의 철학을 들어 설명을 하였다. 알고 보면 금융경제분야 역시 곳곳에 인문학적 장치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책은 제목만 보아서는 얄팍한 인문학 책으로 보이지만 어떤 한 분야의 책을 설명한 것이 지니고 인문학 분야의 이론을 경제와 잘 연결시켜 놓았다. 이 책을 읽고 나면 당장 부자는 안되겠지만 내가 왜 부자가 될 수 없는지에 대해서는 깨닫게 될 것이며 이와 더불어 책을 덮는 순간 인문학적 소양이 한 단계 업그레이드되어 있음을 알게 될 것이다. 어느 장을 펼쳐 읽어도 얻을 것이 있는 재미있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