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비, 왕 위의 여자 - 왕권을 뒤흔든 조선 최고의 여성 권력자 4인을 말하다
김수지 지음, 권태균 사진 / 인문서원 / 201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선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역사 드라마 속에 등장하는 평범한 여자들은 늘 남자들에게 억압을 당하는 모습으로
그려지고 있다. 그도 그럴 것이 조선시대 5백 년 동안은 유교가 지배하던 사회였기에, "암탉이 울면 집안이 망한다"
는 등의 속담에서도 알 수 있듯이 여성의 사회참여는커녕 가정에서도 온갖 천대를 받았던 암흑시대였기 때문에
여성은 천대받는 존재였고 비하되는 것이 당연시 되었다.
하지만 왕가의 여성, 특히 대비는 조금 달라 조선의 왕보다 위에 있을 수 있는 유일한 사람이었다고 한다.
대비, 왕 위의 여자는 조선 시대 대비 중 막강한 권력을 행사했었던 세조의 왕비인 정희황후 윤씨, 성종의 어머니인
인수대비 한씨, 영조의 두 번째 왕비 정순왕후 김씨, 순원왕후 김씨 등 4명의 대비의 이야기를 통해 조선시대에
중요시 되었던 '효'라는 유교적 이데올로기를 적극 활용하여 조선 정치를 좌우한 담대한 여성들의 이야기를 흥미진진
하게 풀어내고 있다.
그동안 드라마나 영화 속에서 그려진 몇몇 대비들의 모습만 보아도 대비의 존재감을 조금은 짐작을 할 수가 있었는데,
그 중에서도 얼마 전에 개봉했던 영화 <역린> 속의 정순왕후나 드라마 <인수대비> 에서 그려졌던 정희왕후와 인
대비는 그동안 여러 번 드라마나 영화 속에 등장했을만큼 조선시대에 존재감이 컸었던 대비가 아닐까 싶다.

세조의 비로 세조가 죽자 조선 최초의 대비가 된 정희왕후 윤씨는 아들 예종이 죽도록 방치한 비정한 어머니로 알려져
있는데, 예종이 19살 젊은 나이에 급서하자 당일에 곧바로 성종을 지명하고 수렴청정으로 정권을 잡았다고 하니
참으로 놀라웠다.
그만큼 권력에 대한 야망이 컸을까? 저자는 보통 어머니라면 그럴 수 있을까 싶을만큼 매정한 모습을 잘 묘사하고
있다.

인수대비 한씨는 세조와 정희왕후의 며느리로 남편인 의경세자의 죽음으로 궐 밖으로 내쳐져 왕비가 될 수 없었는데,
12년의 세월을 와신상담한 끝에 결국 둘째아들인 자을산군을 성종으로 즉위하게 만들고 대비가 되어 시어머니인
정희왕후 윤씨를 수렴청정의 권좌에서 쓸어내리는 큰 역할을 한다.
드라마 <인수대비>나 여러 번 드라마화된 이야기에서도 거론되었듯이 글을 몰랐던 시어머니 정희왕후와 여성 교육서
<내훈>을 편찬할만큼 학문이 깊었던 며느리 인수대비와의 권력 다툼이 대단했던 듯 싶다.

영화 <역린>에서 한지민이 정순왕후 김씨 역할로 악역을 맡아 인상적이었는데, 그녀는 법적 아들이었던 사도세자를
죽음에 이르게 하고 손자인 정조까지 죽게 한 노론 벽파의 수장 정순왕후 김씨는 친정 가문의 집권 유지를 위해 몸을
사리지 않았고 개혁군주인 정조를 무력화시키는 데에 전력투구했고, 그 저지에 성공한 집념의 여인으로 알려져 있다.
이를 위해 15세 나이로 66세의 영조와 혼례를 했을만큼 정치적인 야망이 얼마나 컸던지 짐작할 수 있었다.

세도정치하면 조선 말 순조 · 헌종 · 철종 3대 60년에 걸쳐 왕의 외척으로서 조정의 요직을 독점하고 세도정치를 행한
안동김씨 일가를 일컫는데, 순원왕후 김씨는 안동김씨 60년 세도 정치의 문을 연 인물로 손자 헌종을 수렴청정하고
헌종을 사망하게 만든 후 철종까지 수렴청정하여 2명의 왕을 좌우하며 군림한 막강한 권력자였다.

보통 역사는 정치에서 승리한 자들이 유리하게 기록이라고 하는데, 저자는 조선왕조실록 같은 당대 기록 문서들을 찾아

내어 추론하여 조선시대 여성에게 금지되었던 정치에서 맹활약을 펼친 여성들의 이야기를 담아 내었다.

저자가 머리말에서 "여성들의 정치 권력에 대한 욕망들이 당시 조선 전체 사회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는지 부정적 영향을

미쳤는지는 판단할 수 없다. 단지 이 책에 등장한 대비들은 후손인 왕들의 권력을 크게 제한하며 왕권이 강화되는 것을

막았다는 사실이다. 그 사실들을 역사적으로 어떻게 평가할 것인지는 독자들 각자의 몫이라고 생각한다"라고 말한다."

고 한 것처럼 책에 소개된 4명의 대비들에 대한 평가는 독자들의 몫일 듯 싶다.

이 책을 통해 그동안 많이 알려진 남성 중심의 역사 이야기가 아니라 유교 사회였던 조선시대에 4명의 여성들이 들러리가

아닌 정치 판세를 좌지우지하며 호령했던 당당한 모습들을 엿볼 수 있어 좋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