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니’라고 말하고 싶을 때 읽는 대화법
이시하라 가즈코 지음, 오시연 옮김 / 밀리언서재 / 2021년 6월
평점 :
품절


우리 대부분 하고싶은 말을 다 못하고 산다. 여러가지 이유로 인해서 거절하지 못하고 떠안는 일들이 있다. 억지로 수락하자니 괴롭고, 더러 거절을 하더라도 마음이 편치 않다. 어느 한 쪽이 항상 비교우위가 있다면 그쪽으로 결정이 기울어지는게 자연스럽다. 하지만 억지수락과 거절의 결과가 각각 크게 다르지 않다는게 우리가 고민을 시작하는 출발점이다. 고민 해결에 도움을 얻고자 이시하라 가즈코의 《'아니'라고 말하고 싶을 때 읽는 대화법》을 읽어보게 되었다.



저자는 「자기중심 심리학」이라는 컨셉으로 책 전반의 논리 흐름을 뒷받침하고 있다. 즉, 사람의 판단 기준과 태도를 크게 <타인중심>과 <자기중심>으로 나눈 다음, 둘 중에 <자기중심> 의 태도가 더 바람직하다고 주장한다. 내면이 아닌 외부의 규범과 시선을 중시하며 살아가다보면 필연적으로 많이 <참아야>한다. 문제는 우리가 무한정 <참을> 수는 없다는 데 있다. 내면의 목소리 보다는 당위성을 우선하며 살아가다보니 억울함과 응어리가 쌓이고 이것이 나중에는 공격성으로까지 이어져 감정 폭발을 일으킨다고 한다.


이 책을 읽으며, 그동안 예스맨으로 살며 스스로를 혹사하지는 않았는지 돌아보게 되었다. 자기 중심이 확실한 사람이 건강한 거절, 합리적 거절을 할 수 있겠다라는 생각이 들었다. 남을 배려해야 한다는 생각, 공동체를 우선시하는 생각으로 인해 스스로의 목소리를 억누르고 희생을 강요하는 것은 더이상 바람직하지 않다.



우리 마음에는 남을 돕고자 하는 마음이 공통적으로 밑바탕에 깔려 있다. 반대로 남을 배려하는 마음도 있다. 책을 읽다보니 부탁을 합리적으로 거절하기만 한다면 반드시 상대가 상처받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이해할 수 있었다. 보통 거절이 관계파탄으로 이어지는 부작용은 매끄럽지 못한 소통때문인 경우가 많다.



내 마음의 기준을 세우고 그것을 부드럽게 표현한다면 , 더이상 관계 파탄을 두려워하지 않아도 된다. 거절하지 못해 야근을 해왔다거나 남에게 이용만 당해온 사람, 일을 위임하거나 부탁하지 못해 혼자 모든 일을 처리하는 등 처세술에 어려움을 느껴온 사람이라면 한번쯤 읽어봐도 좋을 내용의 책이었다.


* 리뷰어스 클럽 카페를 통해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솔직히 작성한 후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