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자 편지 쓰는 시간 - 소셜 네트워크 시대에 배달된 손으로 쓴 편지
니나 상코비치 지음, 박유신 옮김 / 북인더갭 / 2015년 10월
평점 :
절판


오늘날 의사소통 방식은 간편하고 빠르다. 편리하다. 그러나 세상의 모든 것을 다 가질 수 없는 법. 편한 만큼 가벼워졌다. 나와 너 사이의 무게가 가벼워졌다. 가벼운 정보를 전하기에는 좋지만 깊은 마음은 전달하기엔 어딘가 부족하다. 수없이 많은 이야기들을 문자 메시지, SNS, 이 메일 등을 통해 주고 받지만 허전함을 부인할 수 없다. 멀리 있는 사람에게도 쉽게 안부를 물을 수 있지만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다. 이러한 관계의 허전함을 채울 수 있는 게 무엇일까? ‘손 편지.

 

저자처럼 나도 손 편지의 힘을 믿는다. 내가 쓴 편지는 상대와의 깊이 있는 관계를 세우기 위한 반 원을 그리며 답장으로 하나의 온전한 원을 만든다. 하나의 원으로 완성되는 과정에서 편지는 과연 어떤 역할을 할까? 우선 편지는 타임머신이다. 편지는 잊혀 진 과거를 영원한 시간으로 불러온다. 단순히 과거사건 반복이 아니라 현재 속에서 새롭게 재창조 된다. 그래서 우리는 웃고, 울고, 행복해진다.

 

편지는 자신의 세계로의 초대장이다. 누구든 편지를 읽으면 편지를 쓴 사람의 내면의 세계로 들어갈 수 있다. 편지를 읽을 때 글 속에 숨겨진 주인공의 마음, 태도, 기분, 상황이 눈앞에 펼쳐진다. 일종의 편지는 상상을 자극하는 확대기다. 그래서 그 사람을 알게 되고, 사랑하게 된다. 이런 경험은 산 자와 죽은 자, 시간과 공간을 뛰어넘는다. 편지가 있고 읽는 사람이 있다면, 불멸의 경험이다.

 

편지는 무장해제. 적어도 내 이야기를 들려주고 싶은 상대에게 만큼은 적나라하게 보여줄 수 있다. 그것은 편지가 사적이고 비공개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편지에서는 무엇이든 자신이 쓰고 싶은 것을 쓸 수 있다는 생각에 자신의 영혼을 보여줄 수 있는 것이다. 편지를 통해 진짜 나를 누군가와 공유한다. 그래서 편지는 쓰는 사람과 받는 사람 사이의 숨은 고백이다.

 

편지는 커피. 커피가 맛있는 이유는 단 맛, 씁쓸한 맛, 신 맛, 인생의 모든 맛을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편지는 다정한 위로가 된다. 애통하는 마음을 쓴 편지는 상대의 마음을 달래주는 힘이 있다. 때론 편지는 따끔한 조언이다. 아무리 좋은 충고도 전달되지 않으면 아무 소용이 없다. 편지를 통한 조언은 상대가 받는 충격도 약해지고 상대를 염려하는 마음을 전할 수 있기 때문에 조언이 조언된다.

 

편지는 확실한 증거. 우리가 함께 한 경험, 관심, 노력, 신뢰를 보여주는 유형의 증거물이다. 나와 너 사이의 사랑, 친절, 성실함을 보여주는 물리적인 증표다. 편지는 변하지 않는다. 너와 나와 있었던 보이지 않는 것들을 볼 수 있게 하는 놀라운 증거다. 그러니 편지는 너와 나의 성육신이다. 그러니 써라! 붙여라! 보내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