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날, 하나님은 어디 계셨는가 - 세월호와 기독교 신앙의 과제
박영식 지음 / 새물결플러스 / 201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생은 고난의 연속이다. 크든 작든 고난을 피할 수 없다. 피할 수 있다면 그 곳은 죽음이다. 죽지 않는 한 우리는 고난을 피할 수 없다. 죽기도 싫고 고난도 싫으니 답이 없다. 피할 수 없다면 즐겨야하는 데 그럴 대상이 못 된다. 그래서 고난을 포장한다. 고난을 받을 수밖에 없는 정당함이라는 이름의 포장이다.

 

첫 번째 포장, “고난은 하나님의 심판이다!” 인과응보의 논리다. 잘못을 했으니 벌을 받는 거다. 하지만 우리 주변의 일어나는 일들이 반드시 인과응보의 논리로 딱 떨어지지 않는다. 때론 너무 억울해 보이고 속상한 일이 생긴다. 그렇기 때문에 모든 고난을 하나님의 심판으로 말하기는 어렵다. 최근에 네팔에 일어난 지진이 하나님의 심판이라고 자신 있게 말할 수 있는가.

 

두 번째 포장, “고난에는 유익이 있다!” 물론 고난을 통해 유익을 얻을 때도 있다. 작은 고난은 큰 고난을 예방하기도 한다. 적당한 긴장감을 유지시킨다고나 할까. 고진감래(苦盡甘來)라는 말처럼 고난을 이겨내면 좋은 일이 기다리고 있을 때도 있다. 그렇다고 고난이 유익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건 아니다. 고난은 고난일 뿐이다. 아프고, 고통스럽고, 피할 수만 있으면 피하고 싶은 대상이다.

 

세 번째 포장, “고난은 숨겨진 하나님의 뜻이다!” 문제는 숨겨져 있기 때문에 자기 마음대로 써 먹는다. 가해자는 지불해야할 책임 회피용으로 사용하며, 피해자는 어쩔 수 없이 감당해야하는 체념용으로 강요된다. 하나님의 뜻은 반드시 고난 속에 숨겨져 있지 않다. 다시 말해 고난이 하나님 뜻을 이루기 위한 필수품이 아니라는 말이다. 고난을 통해서만 하나님을 뜻을 알 수 있다면 하나님을 사랑이 많으신 분으로 이해하기 힘들다.

 

고난의 크기가 클수록, 깊이가 깊을수록 고난의 원인은 더 헷갈린다. 저자는 말한다. 무리하게 정리하지 말고 헷갈리는 대로, 모르는 대로 놔두라고. 모른다고 솔직히 인정하는 것이다. 오히려 우리는 깊은 고난 앞에 ?’(Why)에서 어디?’(Where)라는 질문을 던져야 한다. “고난 속에 하나님은 어디 계십니까?” 하나님은 고통 속에 우리와 함께 하신다. 아버지 하나님은 자신의 아들 예수님의 십자가 죽음과 고통 앞에서도 침묵하셨다. 그러나 아버지는 아들과 끝까지 함께 하셨다.

 

고통 속에 하나님만 계시지 않는다. 우리도 그 곳에 있다. 아니 있어야 한다. 하나님은 우리를 동역자로 부르셨다(고전3:9). 고통의 현장에 우리도 동참해야한다. 정답을 제시하기보다 침묵함으로 함께 해야 한다. 더 나아가 그들의 고통을 경청하고 공감하는 적극성이 필요하다. 여기서 끝나지 않는다. 부조리한 세상에 대해, 침묵하시는 하나님에 대해 항변해야한다. 세상의 부조리함을 인정하고 그럼에도 하나님 나라가 임하기를 간절기 소망하는 마음으로 기도하고, 고민하고, 행동해야한다. 결국 하나님께 향한 질문은 우리에게로 돌아온다. 그 날 우리는 어디 있었는가? 지금 우리는 어디 있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