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프트웨어 객체의 생애 주기 에스프레소 노벨라 Espresso Novella 6
테드 창 지음, 김상훈 옮김 / 북스피어 / 2013년 8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SF소설이다. SF 소설을 읽을 때 기대하는 몇가지가 있다. 뛰어난 상상력, 독창적인 스토리, 디스토피아적 분위기, 문제를 해결해가는 주인공의 솜씨. 허나 이 책의 줄거리는 내 기대를 교묘히 만족시키고, 또한 교묘히 비껴나가며 전개되었다. 이 책은 SF 장르로 쓰여진 육아서이다. 내가 본 어떤 육아 서적보다 훌륭한 육아 안내서 이다.


의식을 가진 인공지능은 어떻게 구현될 수 있을까? 우리의 의식은, 우리의 자아는 어떻게 구성되는가? 저자가 초점을 두는 이 질문의 해답은 바로 '경험'이다. 자유의지, 의식을 가진 인공지능을 구현하려면 그 소프트웨어의 토대 위에 경험을 차곡 차곡 쌓아야 한다. 그 경험이 어떻게 쌓이는 가에 따라 각 소프트웨어는 특유의 개성을 가진 개체로 존재할 수 있다. 그 개체가 어떤 모습으로 변할지 결정하는 것은 경험이고, 이 경험을 바른 방향으로 쌓도록 유도 하는 것이 바로 육아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기에 이 책은 육아 서적이 된다.


의식을 가진 소프트웨어 객체가 세상에 나왔을때 사람들은 소프트웨어 객체를 키우며 즐거워한다. 다른 이용자들에게 피드백을 얻고 노하우를 공유한다. 객체가 자라며 하는 행동들을 보며 기뻐한다. 하지만 예전 다마고찌를 정성스레 키운 뒤 쓰레기통에 버렸던 우리들의 과거처럼 그들도 객체에 관심을 잃고 만다. 바른 경험을 쌓게 하기 위해, 그리고 그 경험을 지속되게 하는 것은 오직 애정인데, 쉽게 롤백이 가능하고, 쉽게 삭제가 가능하고, 쉽게 복사가 가능한 소프트웨어 객체에게 그 애정을 깊게 갖기는 어려운 것이었다.


처음부터 마지막 까지 지속적인 애정을 갖고 객체를 돌보는 사람들이 소프트웨어 객체의 창조에 큰 역할을 한 사람들이란 것을 주목해야 한다. 창조에는 당연히 노력과 땀과 고통이 들어가 있는 법. 우리가 자식을 다마고찌 버리듯이 버릴 수 없는 것은 자신이 자식의 창조자이며 자식은 육아라는 매우 피곤한, 끝도 없는 노동 끝에, 끝이 없는 노동 끝에서 매시간 마다 새롭게 얻어 지는, 세상에 단 하나 뿐인 소중한 작품이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