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통계 분석을 위한 Stata
한세희 지음 / 지식출판사 / 2015년 8월
평점 :
절판


본 책은 제목에도 알 수 있듯이 Stata를 활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눈에 띄는 점은 제목에 명확히 Stata라고 썼다는 점이다. 신기한 것은 Stata관련 출판사나 학회에서 나온 책이 STATA라고 잘 못 쓰는 것과 달리 Stata라고 일관적으로 쓴다는 점이다. (수리)통계학을 전공하여 대학원을 진행하려는 분들에게 다양한 회귀분석 관련하여 이용하는 시험서적은 Chatterjee나 Gujarati 혹은 계산적/이론적으로 조금 더 초점을 맞춘 박성현님의 책이라는 것을 안다는 점을 염두해 두길 바란다.

일단 본서의 단점은 오탈자와 수식등이 앞뒤가 안 맞는 것이 상당히 많다는 것이다. 특히 오탈자는 항상 있을 수 있다라고 보는 관대한 독자나 연구자들에게도  본 책의 오탈자는 신경을 끊지 못할만큼 계속 나온다(놀라울 정도이다). 오탈자는 STATA대신 Stata라고 쓸 때만 집중을 한게 아닐지 의심을 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수식은 앞뒤가 맞질 않는다. 그런데 앞뒤뒤 다음에는 또 맞는다. 비판은 이쯤이다.

본 서의 목적은 사회과학 학회지 중에 해외 혹은 영문으로 써서 제출하는 학회지에 모자람이 없는 분석을 하는 것이라고 저자가 밝히고 있다. 이점은 상당히 유요하다. 흔히 수리통계 분야는 당연하고 계량분석에 상당히 뒤쳐진 사회과학 분야 연구자들이 간과하는 부분들을 잘 정리하고 저자의 경험을 Stata를 이용해 잘 전달하였다. 특히 포아송회귀와 음이항 회귀관련해서는 수학적 엄밀함을 요구하지 않으면서도 다른 사회과학 통계분석 책들과 다르게 그 내용을 매우 적절하고 맞게 전달하였다(물론 책 전반을 통해 그냥 쓰다 귀찮아서 그냥 넘어갔나?라는 의구심이 드는 부분은 존재한다). 아무튼 이 책에서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과 분석 방법을 이해한다면 SSCI관련 학회지 어디에도 통계분석 때문에 문제가 되지는 않을 것 같다(물론 이것도 학회지에 선택된 리뷰어의 역량에 따라 다를 수 있다). Gujarati와 Chatterjee를 통해(물론 이 책들도 수학점 엄밀함은 부족하다)회귀분석을 응용하려는 분들은 이 책에 기초하여 Stata를 통해 실증 분석 방법을 익힌다면 어디가서 모자란 점은 없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논문통계 분석을 위한 Stata
한세희 지음 / 지식출판사 / 2015년 8월
평점 :
절판


본 책은 제목에도 알 수 있듯이 Stata를 활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눈에 띄는 점은 제목에 명확히 Stata라고 썼다는 점이다. 신기한 것은 Stata관련 출판사나 학회에서 나온 책이 STATA라고 잘 못 쓰는 것과 달리 Stata라고 일관적으로 쓴다는 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계량경제학 강의 - 제2판
한치록 지음 / 박영사 / 2017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사회과학의 통계학 분야에 그 유명한 Wooldridge의 저서들과 같은 듯하면서 다른 책이다. 같은 느낌은 아마도 저자가 본 서에도 언급하였듯이 Wooldridge의 저서를 강의에 사용했기 때문일지도 모르겠다. 다른 점은 R을 직접적으로 사용한 것 외에도 Wooldridge의 책에는 설명하지 않은 증명을 집어 넣었다는 것이다(물론 Wooldridge의 책에 들어간 증명을 하지 않은 부분도 있다). 책의 수준은 Wooldridge의 초/중급책과 중/고급 책과 비교하여 중/고급 책에 더 가깝다(물론 본 책에서는 행렬을 본격적으로 하용하지 않는다), 두 책사이에 간격을 매우기에 충분하고 넘친다. 계량경제학이나 수리통계를 전공하시는 분이 아닌 사회과학분야의 연구자라면 이런 책의 내용을 이해하도록 노력해야한다. 그냥 책의 구매자로서, 배우려는 자로서 아쉬운 점은 예를들면 옌센의 부등식등을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설명하려는 시도는 하였지만, 표본표준편차의 기댓값은 모표준편차와 같지 않아도 계속 사용하는 이유를 명확히 설명하려는 노력을 하지 않았다(이는 Wooldridge 외에 다른 학자들도 마찬가지이다). 갑자기 이것은 전혀 중요하지 않다는 말은 것은 받아 들이기 힘들다. 왜? 저자는 n-1도 엄밀히 증명하지 않았지만(기억에 안한것 같다), 최소 자유도 설명과 결국 자유도 설명은 증명이 필요하고..그래서 괜찮다라고 하였다. 그렇다면 공격적이건 수비적이건 편향추정량이지만 그래도 표준편차를 쓰는 이유를 명확히 밝히거나 혹은 본인은 동의하지만 쓰이는 이유를 명확히 하지 않아야 했을까?하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계량경제학 강의 - 제2판
한치록 지음 / 박영사 / 2017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사회과학의 통계학 분야에 그 유명한 Wooldridge의 저서들과 같은 듯하면서 다른 책이다. 같은 느낌은 아마도 저자가 본 서에도 언급하였듯이 Wooldridge의 저서를 강의에 사용했기 때문일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R 기반 제한적 종속변수 대상 회귀모형
백영민 지음 / 한나래아카데미 / 201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동일한 저자의 다른 책과 일관성은 있다. 사회과학 전공자(모두가 그러하다는 것은 아니다)가 통계를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 통계관련 책을 쓰면 발생하는 비극을 보여준다. 여기에 유행을 타는 R을 이용하였으니..아마 저자는 제한 종속변수와 관련하여 통계 비전공자가 이해하기에 매우 잘 쓰여진 Long의 책에 감동을 받고 R을 이용하여 책을 써보기로 한듯 하다. 물론 R의 사용은 투박하다. 컴퓨터 언어를 사용하지 않은 사람들이 처음 R을 사용하면 어려워 보일듯 하지만, 많은 부분 오히려 GUI(예를들어 SPSS) 초점을 맞추고 발전한 통계패키지의 언어보다 편리하다. 본 서는 전혀 그러한 점을 고려하지 못하였다. 왜그러한지 충분히 유추가능하지만 생략하겠다. 비판의 수위를 낮추자면 이 책 외에도 많은 R로 ~~~~하는 분석류의 책들이 그러하다.

역시나 포아송(257쪽 부터)회귀분석과 음이항(305쪽 부터)회귀분석의 내용은 여러 사회과학 학회지의 리뷰어들이 그러하듯 제대로 내용을 이해하지 못하고 쓴 것이 명백하다. 일단 여차저차하기전에 "제1종오류" "모수추정치"에 문제가 생긴다느니....이런 용어를 저자가 일단 이해하고 명확히 수치 혹은 언어로 명확히 정의할 필요가 있어보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