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통계 분석을 위한 Stata
한세희 지음 / 지식출판사 / 2015년 8월
평점 :
절판


본 책은 제목에도 알 수 있듯이 Stata를 활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눈에 띄는 점은 제목에 명확히 Stata라고 썼다는 점이다. 신기한 것은 Stata관련 출판사나 학회에서 나온 책이 STATA라고 잘 못 쓰는 것과 달리 Stata라고 일관적으로 쓴다는 점이다. (수리)통계학을 전공하여 대학원을 진행하려는 분들에게 다양한 회귀분석 관련하여 이용하는 시험서적은 Chatterjee나 Gujarati 혹은 계산적/이론적으로 조금 더 초점을 맞춘 박성현님의 책이라는 것을 안다는 점을 염두해 두길 바란다.

일단 본서의 단점은 오탈자와 수식등이 앞뒤가 안 맞는 것이 상당히 많다는 것이다. 특히 오탈자는 항상 있을 수 있다라고 보는 관대한 독자나 연구자들에게도  본 책의 오탈자는 신경을 끊지 못할만큼 계속 나온다(놀라울 정도이다). 오탈자는 STATA대신 Stata라고 쓸 때만 집중을 한게 아닐지 의심을 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수식은 앞뒤가 맞질 않는다. 그런데 앞뒤뒤 다음에는 또 맞는다. 비판은 이쯤이다.

본 서의 목적은 사회과학 학회지 중에 해외 혹은 영문으로 써서 제출하는 학회지에 모자람이 없는 분석을 하는 것이라고 저자가 밝히고 있다. 이점은 상당히 유요하다. 흔히 수리통계 분야는 당연하고 계량분석에 상당히 뒤쳐진 사회과학 분야 연구자들이 간과하는 부분들을 잘 정리하고 저자의 경험을 Stata를 이용해 잘 전달하였다. 특히 포아송회귀와 음이항 회귀관련해서는 수학적 엄밀함을 요구하지 않으면서도 다른 사회과학 통계분석 책들과 다르게 그 내용을 매우 적절하고 맞게 전달하였다(물론 책 전반을 통해 그냥 쓰다 귀찮아서 그냥 넘어갔나?라는 의구심이 드는 부분은 존재한다). 아무튼 이 책에서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과 분석 방법을 이해한다면 SSCI관련 학회지 어디에도 통계분석 때문에 문제가 되지는 않을 것 같다(물론 이것도 학회지에 선택된 리뷰어의 역량에 따라 다를 수 있다). Gujarati와 Chatterjee를 통해(물론 이 책들도 수학점 엄밀함은 부족하다)회귀분석을 응용하려는 분들은 이 책에 기초하여 Stata를 통해 실증 분석 방법을 익힌다면 어디가서 모자란 점은 없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