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한글박물관에 가자! - 이야기로 만나는 한글 세상 궁금해요 박물관
국립한글박물관 지음 / 시공주니어 / 2016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글의 소중함을 일깨워주는 도서 " 국립 한글 박물관에 가자! "



 

늘 사용하는 한글이라 우리문자의 소중함을 잊고 있다가

" 국립 한글 박물관에 가자! " 를 읽고 한글이 자랑스레 느껴졌답니다.

우리 고유의 문자가 있다는것이 자랑스럽고, 한글을 창제하신 분들께

고개숙여 감사드리고 싶어요.

 줄임말이나 외래어가 익숙한 아이들에게 꼭 읽혀주어 한글의 우수성을 알려주고 싶어요.




 

'국립한글박물관' 에 가보셨나요? 한글이 만들어지기 이전의 문자 생활과 한글 창제 이후
오늘날까지의 역사를 볼 수 있다고 하네요. 아이랑 꼭 한번 방문해봐야겠어요. ^^
책 속에  QR 코드를 스캔하면 동영상 자료를 볼 수 있어서 좋았어요.
시각적인 영상을 통해 작가의 메시지 전달이 더 잘 되는듯해요.



 
고등학교때 아주 어렵게 배웠던 내용으로 기억되는데,
아이들 눈높이에 맞춰 이야기로 풀면서 읽으니 조금은 쉽게 와 닿았어요.
​한글이 얼마나 과학적인 문자인지를 알려주는 대목이예요.
자음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를 설명하고 있는데, 솔직히 아이들에게는
어려울수도 있겠다 싶네요.
모음은 하늘, 땅, 사람의 모양을 본떠서 만들었음을 설명하고 있어요.
 

한글 창제의 원리는 아이들에게는 다소 어려울 수도 있는데,
QR 코드 스캔하면 자세한 영상을 볼 수 있다하니 좋더라구요. ^^
다양한 고문헌을 생생한 사진을 통해 볼 수 있어 좋았어요.
이런 고문헌을 처음 접하는 아이들에게는 낯설기도하고 신기하기도 할거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


 
백성들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만든 한글을 지키고 널리 사용케 하려고
훈민정음 혜례본 만들기, 언문청 설립, 한글 과거시험 시행등​ 세종대왕님이 많은 노력을 하셨네요.



 
세종대왕 다음으로 존경받는 임금이 정조가 아닐까 싶어요.
정조대왕도 한글 편지를 쓰셨군요.
한글을 천하게 여겨 여성들이나 신분이 낮은 사람들만 사용했다고 알고 있었는데
사실은 임금부터 백성들까지 널리 사용되었다고 해요. 



이 편지는 발굴된지 그리 오래되지 않은 자료로 알고 있어요.
아내가 죽은 남편을 그리워하며 묘에 써 넣은 편지라고 해요.
우리 문자가 있으니 손쉽게 구구절절한 사연들을 손쉽게 적을 수가 있었겠죠?

 
북한과는 같은 민족이지만, 오랜시간 단절되어 쓰는 말이 조금씩 달라서
어떤 단어는 뜻이 전혀 짐작조차 되지 않는 단어도 많더라구요.




 

<< 시공주니어북클럽에서 제공받은 도서로 작성된 후기입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