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나무 생각하는 숲 18
김향이 글, 한병호 그림 / 시공주니어 / 201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공주니어 '사랑나무' 리뷰입니다.
제목이 '사랑나무' 인 점에 호기심을 갖고 읽기 시작했어요.
나무는 열매도 주고, 시원한 그늘도 만들어주고, 심지어 누군가의 집이 되어 주기도 하는
존재예요. 그렇게 아무런 댓가도 바라지않고, 베풀기만해서 '사랑나무' 라는 제목이
붙여졌는지 모른다는 생각을 했어요.

 


 

여린 등나무가 소나무 옆으로 오게 되면서 사건이 시작됩니다.
등나무는 홀로 설 수 없기 때문에 소나무를 버팀목삼아 점점 성장하게 됩니다.
등나무가 자랄수록 몸이 휘감긴 소나무는 답답해졌답니다.

 

 

꽃을 피운 등나무는 '아름다운 한쌍' 이라는 사람들의 칭찬에 우쭐해 했어요.
소나무가 버팀목이 되어주었기에 꽃을 피울 수 있었던건데, 소나무에대한 고마움따윈
생각도 하지 않았죠.

 

 

 

그렇게 시름시름 앓던 소나무가 죽게 되었답니다.
까만 배경에 흰 글씨가 슬픔을 더욱 강렬하게 표현해주고 있는듯해요. 
두 나무를 서로 의지하며 살아가는 인간관계를 빗대어 표현한것이 아닌가 싶어요.
깨닫지 못하고 있지만 부부간, 부모 자식간 처럼 서로를 의지하면서 살아가는 관계...

 

 

소나무가 죽은 후 죽은 소나무는 각종 벌레, 버섯, 달팽이등의 보금자리가 되었답니다.
등나무는 이들이 귀찮은 침입자라는 생각을 했다가, 깨달음을 얻게 되었어요.

 

비록 소나무는 죽었지만, 자신의 몸을 희생해 많은 동물들과 식물들에게 편안한 안식처를 제공했다는 사실... 소나무에 대한 미안함, 그리움, 밀려드는 후회등등...

 

책 후반부에 희망적인 반전이 일어나요. 
죽은 소나무가 남긴 솔방울에서 싹튼 어린 소나무의 등장이 무척 반갑게 느껴지더라구요. ^^

 

마지막 페이지에 '연리지' 라는 단어가 나와요. 무슨뜻인가 찾아보았답니다. 
' 두 나무의 가지가 서로 맞닿아서 결이 서로 통한 것을 뜻하는 말로,  화목한 부부 또는
남녀 사이를 비유하는 단어'
무척 정감이 가는 단어예요. 서로를 이해하고, 포용하는 자세로 살아야겠다는 생각을 했어요.
작가가 왜 '사랑나무' 라는 제목을 붙였는지 이해가 되었어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