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의 종말 - AI와 로봇이 인류를 대체하기 시작한 세상
최준형 지음 / 파지트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파지트한줄로 : AI와 인류가 공존하는 방법 알아가기

 

Artificial Intelligence, 알파고AlphaGo가 프로바둑기사 이세돌 9단과 대국을 벌여 5 4 1패의 전적을 이룬 것이 벌써 2016년의 일이다. 그 사이 AI의 발전 속도는 인간 문명의 발전과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빨라졌고 어느새 전문직을 대체할 만한 수준에 이르렀다. 이 책은 표지에 쓰여진 것처럼 “AI와 로봇이 인류를 대체하기 시작한 세상에 대한 분석과 어떻게 대처하면 좋을지 7장에 걸쳐 정리하였다.

 

19세기 흑인 탄광 노동자인 존 헨리는 굴착기가 도입되는 것을 반대하며 인간이 기술적으로 우세하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대결을 벌인다. 1장에서 소개된 이 내용은 기술의 발전으로 말미암아 단순 노동의 가치가 떨어지는 현실과 함께 인간의 한계를 여실히 보여준다. 19세기 노동자가 기계로 대체되는 것과 같이 21세기 노동자는 AI와 로봇으로 대체되고 있는 것이다. 심지어 2장 전문가의 종말 부분에서 AI가 우리(특히, 전문가)를 바라보는 입장은 다음의 문장으로 정리된다.

 

 “…’직무의 종말에서 주목해야 하는 점은 인간의 숙련도와 상황 판단 능력이 AI는 성가시게 생각하는 수준에 불과하다는 점입니다.” (97)

 

하지만 이미 발전하여 인간의 생활 속에 깊이 자리잡고 있는 AI를 위기와 혐오의 대상으로 바라보지 말아야 할 것이다. 오히려 변화하는 이 생태계에 맞춰 직무를 찾는 것만이 적합한 생존의 방식일 것이다. 최종장인 7장에서 이 세계에서 살아남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특히 나는 이 문장에 밑줄을 그어 보았다.

 

 “’지피지기 백전불태’(知彼知己 百戰不殆)’, 적을 알고 나를 알아야 백 번 싸워도 위태롭지 않다는 말입니다. … 새롭게 시작되는 거대한 물결에 휩쓸리지 않기 위해서는 거대한 방파제를 만드는 것보다 그 물결을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 생각의 전환이 필요합니다.” (258)

 

 어차피 변화를 피할 수 없다면 그 물결에 몸을 맡기고 즐기는 것이 낫다. 책에서 말하는 AI의 폭주를 막는 컨트롤러의 역할은 어떨까? 나름 즐거운 상상에 빠져본다.

 "파지트 서포터즈로서 제품을 무상으로 제공받아 작성된 포스팅입니다."


*더 상세한 리뷰는 블로그 https://blog.naver.com/kate_bookeater/223434544554 에 있습니다!

"…’직무의 종말’에서 주목해야 하는 점은 인간의 숙련도와 상황 판단 능력이 AI는 성가시게 생각하는 수준에 불과하다는 점입니다." - P97

"’지피지기 백전불태’(知彼知己 百戰不殆)’, 적을 알고 나를 알아야 백 번 싸워도 위태롭지 않다는 말입니다. … 새롭게 시작되는 거대한 물결에 휩쓸리지 않기 위해서는 거대한 방파제를 만드는 것보다 그 물결을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 생각의 전환이 필요합니다." - P25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