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탈한 하루 - 다정하게 스며들고 번지는 것에 대하여
강건모 지음 / 교유서가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렸을 땐 롤러코스터 같은 굴곡을 사랑했다. 삶은 조금 거칠게 굴곡도 있으면서 감정의 변화무쌍함도 즐겨야 한다고 믿었던 시절도 있었다. 하지만 지금은 무탈하길 평범한 것이 가장 비범하다는 것을 느끼며 살아가고 있다. Aging, 나이 먹음이라는 것이 그럴지 모르겠으나 가장 가까운 관계들과의 삐걱거림, 녹록하지 않은 사회생활, 서른 중반부터 매년 한 번씩 올라가던 수술대까지.. 남들은 한 번 겪을까 말까 했던 일을 껴안고 살다 보니 #무탈 이라는 단어에 집착하게 돼버렸다.

2023년 마지막 문턱을 넘기기 전 읽은 이 책은 일상이 무탈하길 염원하는 따뜻한 위로이다. 첫 표지를 넘기자마자 보인 내 이름이 새겨진 작가 분의 서명이 배려로 다가왔다. 책의 활자가 큼직하니 눈 안에 들어오는 것도 말이다.

 두려움으로 새겨진 상처의 기억은 외부 세계에 대한 도피와 혐오, 배척, 공격성을 강화한다. 스스로 맞서기 어려우므로 일상을 난폭하고 뒤틀리게 바라보도록 조종한다. 사람이나 동물이나 모두 마음이 있으니 그 반응이 다르진 않을 것이다.” (46)

 이 글을 쓰고 있는 나는 좀 전에 카운트다운을 마치고 새해를 맞이 했다. 책의 첫 장도 새해 아침을 맞이하며 연필을 깎는 하루로 시작된다. 서울을 떠나 제주도 생활을 선택한 뒤 보여주는 일상은 도시 냄새 없이 참 평화롭다. 경계를 잃지 않는 길 고양이라고 하지만 그래도 작가 분에게는 다정함을 보여주는 묘선이까지. 어쩌면 따뜻한 내면을 누구보다 민감한 감각을 지닌 고양이들이 더 잘 알아챌 수 있지 않을까? 우리 인간 역시 경험과 감각을 통해 나에게 친절하고 상냥한 이에게 더 쉽게 다가갈 수 있으니 말이다.

 “’기다리다라는 동사는 언제나 목적어를 필요로 한다. 기다림에 대상이 없다면 그 행위의 의미가 모호해지기 때문이다. 물론 사뮈엘 베케트의 희곡 <고도를 기다리며>의 인물들처럼 기다리는 대상이 기다림 그 자체일 수도 있겠다. 중요한 것은 그게 무엇이든 우리는 그것을 기다리며 살아간다는 것일 테다. 그러고 보면 인생은 라는 주어와 기다린다라는 서술어 사이에 어떤 목적어를 놓는 일인지 모른다.” (82-83)

 기다림은 나에게 익숙한 단어가 아니다. 성질이 급해서 그럴지 모르겠으나 사실 기다림이 주는 공포감 때문이라고 보아야 할 것 같다. 긍정적인 경험이 축적되면 기다린다는 행위도 자연스러운 행위가 될 수 있을 테지만 부정적인 결과를 맞닥뜨린 적이 많아서 기다려야 하는 순간에 느끼는 불안함이 큰 편이다. 요즘은 스마트폰도 있고 책도 갖고 다니니 기다림의 스트레스가 큰 편은 아니다. 책 속 기다림의 문장과 작가님의 이야기를 보며 기다림을 스스로 정의해보게 되었다.

 “’잘 보고 듣고 행동하고 이해하고 잊지 않는다는 것은 자기인식을 통해 삶을 자신의 것으로 만들어가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이야기하기도 그 방법의 하나가 되겠지요. 실은 제가 무탈한 하루에 이르기 위해 부단히 하는 일이 바로 그것입니다. 나에게 스며들고 싶어 언 손을 녹이듯 이야기를 하고, 당신에게 번지고 싶어 나무 그늘이 되어 이야기를 듣는 것.” (13쪽 책장을 펼치며 중)

 작가 분이 4년 동안 제주에 살면서 쓴 글들을 엮은 이야기 - 책 띠 지의 추천사에 나와있듯 활활 타오르지 않아도 뭉근히 오래 불을 밝히는 뜬불처럼 고요한 위로를 전하는 책이다. 어떤 사람은 만나면 같이 공연을 보러 가서 악악 소리지르면 재미있을 것 같고, 어떤 사람은 술을 주거니 받거니 하며 같이 투덜거리면 좋을 것 같다. 작가 분은 볕이 좋든 비가 오든 눈이 쌓이든 사방이 고요한 어느 날에 차 한 잔 나누며 이런 일이 있었네요.’하고 푸념하면 , 네 그렇군요, 고생 많으셨네요하고 조용히, 다정하게 공감해주는 분 같다.

In this cold world…… 차가운 세상에 글이 따뜻한 공기로 다가오는 건 아마도 내 마음에 위로가 필요해서였겠지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