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운터 컬처 - 복음과 문화가 충돌할 때
데이비드 플랫 지음, 최종훈 옮김 / 두란노 / 2016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의 제목은 '카운터 컬처'이고 부제는 '복음과 문화가 충돌할 때'이다. 저자는 가난, 낙태, 고아와 과부, 성 착취, 결혼, 성윤리, 동성애, 인종, 관용 등에 대하여 복음적인 시각으로 명료하게 정돈하고, 이것들은 현대의 문화가 대하는 방식과 정반대라고 말한다. 그래서 복음적인 방식으로 살아가려면 반문화적일 수 밖에 없고, 현대문화에 순응하며 살아갈 수 없기에 고난과 어려움이 있을 수 밖에 없다고 말한다.

저자는 복음을 알고 그리스도의 사랑을 경험한 자라면 마땅히 고통받는 이웃을 돌아볼 수 밖에 없게 되어있고, 적극적으로 돕고 행동해야 한다고 아주 강력하게 말한다.  

나는 최근, 팀켈러의 '정의란 무엇인가'와 존스토트의 '제자도'를 읽고, 나에게서 시선을 돌려 주변의 연약한자를 돌아보는 것, 나아가 하나님이 지으신 창조세계의 모든 것들과 사회적인 정책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는 시각을 가지게 되었다. 데이비드 플랫의 이 책도 그 연장선속에 있는 것 같았다.

저자는 세계각지의 다양한 사람들의 비참하고 끔찍한 사례들을 생생하게 들려주어, 평소에 접할 수 없었던, 그러나 지금도 여전히 지구 한쪽에서 일어나고 있는 이웃들의 고통을 조금이나마 알게 해 주었다. 그리고 이렇게 좋은 환경속에서 그들을 위해 아무것도 하고 있는 않는 나를 부끄럽게 하였다. 지금 당장 행동하기를 촉구하는 저자의 강력한 외침이 부담스럽기도 하고 부끄럽기도 하다.

또, 현대의 민감한 사안인 동성애와 같은 문제에서도 저자는 성경적인 관점을 단호하고 분명하게 밝히지만, 결코 무례하지 않고,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어진 모든 인간을 아주 존엄하게, 사랑으로 겸손하게 대하는 태도를 동시에 가지고 있는 것이 인상적이었다. 요즈음, 한국교회에서 많은 이들이 보이는 '혐오와 정죄'의 모습과는 차이가 많이 느껴졌다. 

저자는 타인을 정죄하는 것이 아닌, 본인부터, 그리고 우리 모두가 깊은 죄에 물들어있는 죄인이라는 사실을 강조한다. 그리고 이런 우리를 목숨걸고 건지신 예수그리스도의 사랑은 우리를 행동하게 하고, 이 복음은 모든 인간을 변화시킬 수 있으며 바른 정체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고 말한다.

책을 읽는 내내 즉각적인 실천을 촉구하는 저자의 강력한 외침으로 인해 부담감과 동시에 부끄러움을 느끼고, 한편으로는 적극적으로 주변의 이웃들을 찾아나서야겠다는 다짐을 하게 한다.

이 책은 현대문화와 충돌하고 있는 많은 사안들에 대하여 분명하게(때론 보수적으로) 성경적인 기준을 제시하지만, 결코 무례하거나 공격적이지 않으며 모든 인간에 대한 (타종교인에 대하여도) 존중과 따뜻한 사랑의 태도를 또한 강조하는 점이 인상적이다. 근본주의적인 성향이 강하고 신앙생활이란 '교회생활'이라는 개념이 강한 한국교회에서, 이제는 시선을 넓혀 고통받는 이웃에게로 적극적으로 다가가야 함을 일깨워 주는 책이다.  


* 책속으로..

희생적인 사랑이란 구체적으로 어떤 모습일까? ..
레저와 사치, 금융소득, 자기개발, 물질적인 소유 따위를 몹시 중요하게 여기는 문화 속에서 부지런히 일하고, 단순하게 살며, 희생적으로 베풀고, 건설적으로 돕고, 영원에 투자한다는 건 대단히 반문화적인 도전이다. 64P

참다운 신앙이란 그저 피상적인 종교 활동에 참여하는 게 결단코 아니다. 자신을 희생해 가며 초자연적인 사랑을 적절하고도 지속적으로 드러내는 게 진정한 신앙이다. 122P  

결국, 크리스천들은 이주민들을 풀어야 할 숙제가 아니라 사랑해야 할 대상으로 파악해야 한다는 말이다. 복음은 불법이나 합법을 가리지 않고 우리 문화 속에서 이민자들을 향해 보내는 모든 형태의 억압과 착취, 편견, 학대를 맹렬히 비판하라고 요구한다. 그리스도는 바로 그이들을 위해 돌아가셨다. 이주민 한 명 한 명은 더도 덜도 없이 우리와 똑같은 존엄을 가진 존재들이다. 275p

동의하지 않는 믿음을 가진 이들에게 지속적으로 가치와 존엄을 부여하면서 신앙적인 불일치를 분명하게 표현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야 한다. 크리스천들이 상대에 대한 존중이 결여된 채로 신앙적인 차이를 표현하는 여러 모습들을 볼 때마다 절로 한숨이 나온다. 297p

그이들은 스스로 옳다고 믿는 길을 추구하는 똑같은 인간일 따름이다. 상대를 향한 명료한 사랑과 존중을 지키면서 불일치를 드러내는 근사한 방법들이 분명히 있을 것이다. 298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