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설
박영선.김관성 지음 / 두란노 / 2016년 4월
평점 :
품절


 

박영선 목사님의 책을 몇 권 읽고 감명받고 많이 배웠기에, 기대감으로 이번 신간을 펼쳐들었다. 평소 박영선 목사를 존경했던 젊은 김관성 목사와 박영선 목사가 1년간 몇 차례 했던 대담을 편집한 책이다. 김관성 목사는 교회와 목회자, 신자들, 신앙생활에 대한 비판적이고 때론 냉소적으로 느껴지기까지 하는, 하지만 정말 공감가는 많은 직설적인 질문들을 마구 쏟아놓는다. 그리고 그에 대하여 박영선 목사(이하 저자)는 고수다운 면모를 뽐내며 아주 담담하게. 통찰력과 깊은 지혜가 담긴 대답을 한다.  

저자의 글을 읽어내려가며 하나님의 크심과 일하심, 지금도 죄와 구원이 뒤범벅된 현실에서 여전히 역사하고 계시는 하나님을 계속적으로 의식하게 한다. 나 또한 세상의 불의에 대해, 그리고 교회에 대하여, 그리고 나 자신에 대하여 비판적인 시각을 가지고 탐구하고 고민하는 중이지만, 이 모든 현실을 다 사용하여 하나님은 여전히 역사하시고, 내 존재를 빚어가고 계시다는 것이다. 대안없는 비판만 하는 것은 건강하지 못하며, 끊임없이 하나님과 <함께> 이 현실을 살아내는 것이 굉장히 의미있고 가치있는 시간들임을 깨닫게 한다.  

저자의 글에서 계속적으로 느껴지는 것은 <현실>을 매우 중요시 한다는 점이다. 교회생활이 신앙생활의 전부가 아니라는 것이다. 우리는 많은 설교와 지식들을 통해 아는 것이 많아 '명분'에 대한 말은 아주 잘하지만, 실제로 살아내는 삶과는 너무가 괴리가 크다는 것이다. 너무도 와닿는 말이다. 우리 인생은 스토리가 있는 영화와 같다고 표현하며, <인생>이라는 영화 화면에 <말씀>이라는 자막을 입혀야 한다고 강조한다. 즉, 말씀을 지금의 내 현실, 매일 주어진 오늘에 적용하고 살아보고 씨름해야 한다는 것이다. 죄인이기에 실패하고 죄를 짓고 절망의 상황에 놓이기도 하지만, 그마저도 하나님께서는 내 존재와 인생을 빚어가시는 재료로 사용하심을 강조하며, 저자는 하나님을 인식하고 인정하는 믿음의 자리로 이끈다. 

책을 읽고 나서, 내 존재와 인생을 빚어가시며, 역사를 이끌어가시는 하나님을 묵상하게 되고, 너무 비판적이거나 절망적일 필요도 없음을 깨닫게 되었다. 그렇지만, 내가 매일 마주하고 있는 '오늘, 현실'을 <하나님 앞에서> 진지하고 책임성 있게 살아내야 하며, 말씀을 내 삶에 녹여내고 입혀야 함을 깨닫는다. 

 

 

* 책속으로...

 

일을 하면서 일을 함께 하는 사람들과의 관계속에서 예수 믿는 사람의 바름, 인격, 성격, 관용이 드러나야 합니다. 도덕으로 드러나는 것이 아니라 존재로서 성도가 가진 넉넉함을 나타내야 한다는 뜻이지요. 27p 

신앙에서 제일 중요한 것은 하나님의 일하심이 개념이 아니라 사실이라는 것입니다. 오늘이 신앙입니다.
오늘이란 하나님이 허락하신 오늘을 말합니다. 78p 

어느 때나, 내가 가장 이해할 수 없는, 그리고 불리한 조건과 경우에 있을 때조차, 원망할 때조차, 불평할 때조차 하나님의 일을 하고 있다는 진지함과 자기를 보고 있는 이웃들 앞에 예의를 지켜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 사실을 깨달으면 가장 고통스러울 때도 위대해집니다. 139p

공부, 신앙, 신학이라는 추상명사와 명분에 잡혀있고, 그것을 하는 사람들을 인격적으로, 복합적으로, 그리고 삶을 담아내는 것으로 구체화한 예술성이 없습니다. 내가 살아 숨 쉬고,내 발로 가는 모든 자리와 내가 당하는 모든 정황에 신학과 신앙, 그리고 이기심과 비겁함이 범벅이 되어 나타나야 합니다. 실패하는 것까지도요. 그리고 변덕을 부리는 것 전부를 합쳐서 신앙과 우리의 실체를 증거해 내는 귀중한 증인이 있어야 합니다. 152p  

예수를 믿고 신앙생활을 하는 것은 정신세계와 구체적인 현실을 가져야 합니다. 213p 

현실에 성경자막을 입히는 방식은 설교입니다. 현실과 그 내용을 결합시키지 않고 자기의 주장을 위해 성경을 끌어와 증거로 이용해서는 안됩니다. 신학교육이 전체 신앙 내용의 개관과 균형과 질서를 깨우치듯이 설교는 우리가 겪는 일상이 진리와 생명에 관한 현실적 구체적 도전이라는 것을 밝혀 진정한 답을 성경에서 제시하는 것입니다. 240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