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스트 캠페인 - 미국을 완전히 바꿀 뻔한 82일간의 대통령 선거운동
서스턴 클라크 지음, 박상현 옮김 / 모던아카이브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이 달에서 걷게 하는 것은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하지만 이 나라의 수도를 비롯한 여러 도시에서 사람들이 밤거리를 안전하게 걷게 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게 로버트 케네디를 나타내는 발언이라 생각한다.

이 책의 서평단 모집 글을 보고 왠지 모르게 읽고 싶다는 느낌이 들었는데 그게 표지 때문인지 케네디가의 이야기가 막연하게 궁금해서 인지 모르겠지만 신청을 하게 되었고 내용의 분량이 좀 있기도 했고 글은 읽기 쉽게 씌여져 있긴 했지만 내가 알지 못했던 미국의 근현대사 이야기여서 진도가 죽죽 나가는 책은 아니었다. 하지만 읽고 난 후의 느낌은 좋았다 이다.

책을 보면서 내가 진짜로 아무것도 모르는 바보였구나 라는 생각이 들었던 부분은 총에 맞아 피살당한 케네디 대통령의 이야기 인줄 알았던 것이다. 그건 형의 이야기였고 동생 로버트 케네디 역시 총에 맞아 죽었다는건 이 책을 통해서 알게 된 사실이었다. 아마 이 책을 읽지 않았다면 평생 모르고 지나쳤을 역사적 사실이었을 것이다.

책에서 나오는 로버트 케네디의 약자를 향한 시선이나 말들 그리고 주변 사람들의 증언을 보면 나는 그 사람을 전혀 알지 못했지만 그 사람의 사람을 대하는 태도나 마음 같은 것들이 느껴졌다.

사람들은 그에게서 형의 모습을 봤고 그 역시 그게 나쁘지 않았던 듯 하다 하지만 만약 로버트 케네디가 당선이 되었다면 더 나은 미국을 만들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가 보여줬던 82일간의 선거유세 기간이 그정도의 가능성을 보여줬다

마틴 루터 킹 목사가 암살 당하고 2시간 후에 흑인 밀집 지역에서 연설을 하는 장면에서 그의 진정성이 느껴졌다 자신의 목숨을 중시하는 사람이었으면 그런 행동을 하지 못했을 것이다

2000년 이후로 진보 정권에게 10년이란 기간이 있었지만 그 기간동안 노동자나 약자에게 돌아간 혜택은 거의 없었다. 그 기간에 빈부격차는 더욱 더 커지고 노동자들의 권리는 더욱 줄어들었다 아이러니 하게도 그 기간에 아웃소싱 그리고 외주화 라는 명목으로 수많은 노동자들이 손쉽게 잘려나가고 수많은 약자들이 물건으로 소비되었다. 그 후엔 보수 정권의 10년이 이어졌고 우리에게 가장 중요했던 20년 이란 시간이 그냥 흘러가 버렸다

읽는 내내 이 작품을 넷플릭스 드라마로 만들면 진짜 재미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머릿속에서 터나질 않았다.

특히 내용중에 지미 호파가 자주 등장하는데 아이리시맨의 등장인물로 유명하다는 것을 알고 있었던 터라 관심이 갔다 그래서 책을 읽다 영화까지 보고 싶어졌다 그정도로 이 책의 내용은 다큐이긴 하지만 드라마적인 요소도 충분했다. 이런식의 확장되고 흥미를 끌어내는 독서가 너무 좋다

사회를 바꾸는건 대통령이 아니라 시민이고 개인이다 하지만 저런 대통령을 가져본 적 없는 우리나라 국민들이 불쌍하다... 아니 미국 역시 가진적은 없으니 비슷하다고 해야하나? 로버트 프랭크가 만들어낸 미국은 과연 어떤 모습이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