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빠를 빌려줘 한솔 마음씨앗 그림책 109
허정윤 지음, 조원희 그림 / 한솔수북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처음에 서평을 신청할 때는,

“아빠를 빌려줘‘라는 말이

아이들 사이에 장난처럼 하는 말인 줄 알고,

아빠를 빌리면 무슨 일이 생길까

재미있는 일이 벌어지겠다 궁금했는데,

작가님의 실제 사례라는 유튜브를 보고,

그런 생각을 했다는 것이 너무 죄송했다.

나는 첫 장보다, 두 번째 장에서 느낀

묵직함을 잊을 수가 없었다.

“글러브와 야구공은 모래바람을 숨기고

잠들어 버렸다”

함께 했던 추억을 실행하는 것조차 버겁고,

힘겨웠을 아이의 마음이 느껴져 마음이 아렸다.


아빠가 죽고나서 멈춰버린 시간.

남아 있는 사람들이 죽음을 마음에 받아들이기까지 시간이 걸린다.

그리고,

“인수는 이제 야구를 하지 않는다”

어쩌면 혼자서 못하는 것일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아빠가 돌아가신 후,

함께 한 추억마저도 모든 것이 멈춰버린 그 순간과

추억을 찾아, 아빠가 입혀준 겨울바지를

여름에 입는 아이의 행동과

주머니에 야구공을 가져가는 아이의 행동이

혼란스러움을 보이는 것 같다.

그렇게라도 아빠와의 시간을 추억하고픈 아이의 마음. 힘든었을 아이마음이 느껴진다.

만약, 우리 아이들이 내가 죽은 후,

이렇게 느낀다면, 마음이 너무 힘들 것 같았다.

누나가 있어서 다행인걸까?

그래서 야구도 제안하고 동생을 달래보지만,

동생은 막무가내다.

아빠랑 아니면 안 된다말하는 동생과

동생을 달래고픈 누나의 마음이 보였다.

그걸 바라보는 누나는 어땠을까?

누나도 속상하고 힘들었을텐데, 아팠을텐데,

동생을 향한 마음이 느껴져서

이해되면서도 아팠다.

그래서 누나는 되지 않지만,

아빠를 빌리기로 결심하고 힘든 이야기를 꺼낸다.

처음에는 빌리러 간 집의 아빠가

오늘 일일 아빠가 되어 줄줄 알았는데,

과연 무슨 일이 벌어졌을까요?

상상 못한 반전. 그건 책에서 꼭 확인하세요.



아빠를 잃은 남매가 이웃 친구들과 함께

상실감과 슬픔을 극복해 가는 이야기를 담았어요.

이렇게 소개되는 책입니다.


추천포인트 1. 

표지속의 그림을 보고,

제목과 연결하여 상상하면 책을 꼭 펼쳐보세요.

어떤 느낌이 드나요?

저는 표지와 제목을 보고, 완전 다른 생각을 했어요.

아빠를 빌려달라고 하면서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있는 표지이기에,

친구들과 아빠를 빌려서

아빠의 장점들을 살려 신나게 즐겁게 노는 걸 상상했답니다.

여러분은 표지에서 무엇이 느껴지세요?

추천포인트 2.

면지를 넘기면 바로 이야기가 시작됩니다.

그리고 속제목이 나오고 다시 이야기가 시작됩니다.

시원하게 이야기를 딱 주고 시작합니다.

"아빠가 돌아가셨다. 아빠 없는 아이가 되었다. 나에게도 동생에게도 아빠는 없다"

그리고 제목을 보여준다.

그래서 더 먹먹하다. 너무 실제의 말을 덤덤하게 풀어서.

그러면서 앞면지와 뒷면지를 보면, 어렴풋이 무슨 일이 일어어났는지 보인다.

앞면지와 뒷면지의 변화는 무엇을 의미할까요?


추천포인트 3.

아이들이 죽음을 받아들이는 과정을

천천히 따라가 보세요.

아빠가 죽고, 아빠와 하던 야구가 멈췄다.

추억이 멈춰버린 것이다.

그러다 시간이 지나서,

아이들의 마음도 야구공처럼 조금씩 표현을 할 수 있는

시간의 흐름을 따라가 보세요.

추천포인트 4.

누나는 누나인가 봅니다.

누나의 마음을 잠깐이라도 머물러 주세요.

“아빠를 볼 수 없다는 게 거짓말이었음 좋겠다”

이렇게 말하고 아빠에게 안겨있는 저 행복한 표정 보이시나요?

자신도 힘든데, 동생을 봐라보는 누나가 보이세요?

추천포인트 5

그림책 속의 색감을 따라가 보세요.

톤 다운 된 몇 가지의 색이 반복되어서 나옵니다.

그 속에서 아이들의 슬픔, 아픔, 상실감, 죽음의 느낌이 다 전달됩니다.

아이들의 기 죽은 모습도 느낌으로 선 만으로 표현이 됩니다.

정말 작가님들은 대단하신 것 같아요.


추천포인트 6.

딱 한 장면 등장하는 엄마에게 표정이 없어요.


그래서 더 아리네요. 엄마도 남편없이 일상을 견디며 지내고 있었겠지요?


그래서 아이들이 저녁을 먹지 않아도 무어라 이야기를 건낼 힘이 없었던 거겠지요?

엄마도 견디고 있나봅니다.



추천포인트 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