뾰족이, 안뾰족이
김유강 지음 / 오올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림책을 읽다보면,

“스토리가 이렇게 끝나겠지?”라고

예상되는 경우가 있고,

“오잉? 작가님 대박?”하면서

소름 끼치는 경우가 있다.

전혀 결말을 예상 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 작품이 내겐 다른 의미로 “오잉?”하는 작품이었다.

결말을 보면서 고개를 갸우뚱했다.

다른 사람의 리뷰를 보아도,

뒷부분에 대한 언급이 없이

서평이 끝나서 나만 이런 느낌인가 싶어,

아이랑도 이야기를 해 보고,

그림책 좋아하는 선생님들과 이야기를 해 봐도,

끝장면에서 무언가 이야기가

더 나올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아마 관계속에서 그림책은 선명한 결론이 있어야 한다는 생각이 있어서 그랬던 것 같다.

“작가님이 전하려는 의도가 뭘까?”를 궁금해 하면서

다시 읽고 또 읽고 또 읽었다.

여러번 보고 또 보니,

약간 이런 걸 전하고 싶으셨구나.

느껴지게 되는 깊은 의미.

동반자 어른의 역할,

조금씩 방법을 찾아가는 아이.

그런 시간안에 알아주는 오각이.

나는 이 그림책을 보면서 오각이가 너무 사랑스러웠다.

오각이 덕분에 뾰족이가

어쩌면 용기를 내 볼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뾰족이의 약간의 변화를 알아차린 사랑스런 아이.


뾰족이는 친구들과 노는 것을 좋아하는 아이이다.

하지만, 뾰족한 모양 덕분에

아이들에게 의도하지 않게 피해를 준다.

노력해도 친구들에게 상처를 주기만 한다.

안 뾰족이는 안이 뾰족해서 안 뾰족이다.

안 뾰족이 주변에 친구들이 많다.

그런데 의도하지 않게

친구들에게 피해를 주는 모습이 나오면서

본인이 스스로 친구들을 거부한다.

어느 날 둘이 만나게 되고,

그 속에서 서로 조금씩 관계를 배워나간다.

상처를 내기도 하지만, 사과할 줄도 알게 되고,

울면서 토닥거릴 줄도 알게 되면서,

조금씩 천천히 친구들에게 다가간다.

여전히 상처주고, 상처받지만,

그림책이 진행되는 동안에도

뾰족이와 안 뾰족이는 성장하고,

다가가는 방법이 바뀐다.



그렇게 조금씩 천천히 변한 뾰족이와 안 뾰족이를

알아주는한 아이가

이 두 아이를 쳐다본다.

추천포인트 1

다양한 친구들의 모습과 이름을 매칭해서 보세요.

어떻게 이름을 이렇게 찰떡같이 지으셨을까요?

멋지십니다.

모양도, 색깔도 환상입니다.

추천포인트 2

배경으로 가끔 사용된

하늘빛, 분홍빛, 초록빛을 한 번 해석해 보세요.

배경으로 분홍이 한 번 나와요.

초록과 하늘이 같이 나올때도 있고,

초록만 나올때도 있고, 하늘만 나올때도 있어요.

무언가 작가님의 의미가 있을 것 같은데, 궁금해 집니다.

추천포인트 3

뾰족이와 안 뾰족이의 행동 변화를 살펴봐주세요.

뽀족이의 노력하는 모습과

조금씩 달라지는 태도들을 눈여겨 봐주세요.

행동먼저 하던 아이가,

표현을 먼저 하는 아이로 바뀌어 가요.

그리고 천천히 다가갈 줄 아는 아이가 되어가요.

뾰족이의 표정과 표현을 보면,

뾰족이의 마음이 느껴져요.



안 뾰족이는 표현하지 않던 아이가 뾰족이를 만나,

자신의 마음을 표현하기도 하고,

타인을 토닥여주기도 하고, 화를 표현하기도 해요.

어쩌면 누군가에게는 쉬운 행동이

누군가에게는

어려운 일일 수 있다는 것을

뾰족이와 안뾰족이가 알려주네요.

저는 이런 생각도 들었답니다.

뾰족이는 행동하는 아이이고,

안 뾰족이는 마음을 망설이는 아이일까?

우리가 행동과 마음이 부딪힐때가 있잖아요.

그런데 둘이 일치할 때 행복하잖아요.

추천포인트 4

오각이의 따뜻한 시선과 몸짓을 봐 주세요.

오각이같은 친구가 있으면

용기를 낼 수 있을 것 같아요.

조금씩 마음열고, 성장해서 다가가고 있는

뾰족이와 안 뾰족이의 마음을

제일 먼저 발견해 준 친구예요.




추천포인트 5

뾰족이와 안 뾰족이가 둘이 합체를 했잖아요.

그런데, 선이 남아있어요. 선명하게.

비슷한 듯 아닌 듯.

그것이 의미하는 바가 너무 깊게 와 닿았어요.

결국 하나가 될 수 없다는 거죠.

너는 너, 나는 나.

그렇게 편한 친구를 만날 수 있지만.

때론 편하지 않은 공동체 안에 살아야 하기에

세상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걸 의미하는 것 같아요.

추천포인트 6

뒷면지에 왼쪽이와 오른쪽이 나와요.

이건 무엇을 의미할까요?

ㅎㅎ

추천포인트 7

작가님의 시선을 따라가 보았어요.

작가님의 이야기가 보이시나요?

작가님의 생각이 궁금해서 인스타를 찾아가봤답니다.

작가님은 안 뾰족이를 뾰족이의 동반자로 생각하셨어요.

안 뾰족이는 겉으로 보기엔

둥글둥글 완벽해 보이잖아요.

그런데 결국 작가님이 표현하시고 싶었던

안 뾰족이 어른도

관계에 대한 고민을 한다고 하셨어요.



작가님은 결국 동반자로 인해 서로 배우고,

함께 그 안에서 조금씩 성장하면서,

같이 살아야 하는 것을 배워야 한다고

이야기 하는 것 같아요.

날카롭다고, 혼자 상처 받는다고

혼자 사는 게 편하다고, 혼자 살 순 없잖아요.

결국 공동체 안으로 들어가야 하는 모습과

함께 보듬어 주고 안아주고 성장시켜 주는

누군가가 옆에 있다면

할 수 있다고 말하는 것 같아요.

내가 그런 어른이 되어주면 좋을 것 같고,

내 옆에 있는 아이들에게 배운 지혜를

어른이지만 삶에 적용시켜 보고 싶네요.

서평 신청으로 하고,

오올로부터 제공받아 저의 생각을 정리한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