힙하게 잇다 조선 판소리 - 판소리 보여드립니다 뉴노멀을 위한 문화·예술 인문서 2
김희재 지음 / 초록비책공방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처음 국악을 좋아했던건 초등학교 때 김덕수 사물놀이 공연을 본 뒤였다. 장구에 푹 빠져서 방학 동안 장구 수업을 들으러 다녔었다. 참고로 그 때 쓰던 궁채와 열채도 아직 가지고 있다!! ㅋㄷㅋㄷ 여튼 그뒤로는 잊고 있었는데, 너목보를 보다가 조선블루스, 서도밴드를, 씨름을 보다가(?) 두 번째 달 김준수, 팬텀싱어의 고영열을 알게 되고 최근 한국관광공사의 "Feel the Rhythm of Korea"영상이 흥하며 이날치를 접하며 본격적으로 국악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그러다 최근 "풍류대장"이라는 본격 국악 예능을 방영했다. 국악 경연 프로라니.. 보면서도 재미있을까 반신반의했지만, 매화 감동에 눈물을 흘리고, 결승 투표까지 하며 열정적으로 응원하며 보았다. 그리고 그 풍류대장의 초대 풍류대장이 된 서도밴드의 추천사가 있는 책, '힙하게 잇다 조선 판소리'를 읽어보았다.

처음부터 끝까지 아주 재미있고, 유익한 책이었다. 하지만 첫 페이지를 넘기자마자 아주 큰 충격을 받았다. '국악'이라는 용어 사용에 관하여라니... '국악은 국악 아닌가?' 했지만 말 그대로 나라의 음악. 나라의 음악이 장르라니 생각해보니 정말 이상했다. 하물며 창과 기악만해도 같을 수가 없는데 창은 판소리, 민요, 정가, 기악은 정악, 민속음악, 굿으로 더 세분화가 되는데 어째서 다 뭉뚱그려 국악이라고 불렀을까? 국악이라는 단어가 일제강점기에 생겼다는 사실을 알고 보면 문화 말살 정책이 실패한 것 같지 않다는 생각이 든다. 어쨌든 한 번 쯤 생각해볼만한 주제인 것 같다. 이 화두를 먼저 던진 뒤 책은 본격적으로 시작을 한다.

이 책이 정말 좋은 이유는, 첫 번째 마당에서 판소리의 가사, 내용과 배경 설명, 공연 영상 QR코드까지 한 방 볼 수가 있다. 다양한 대목과 다양한 명창분들이 부른 것을 볼 수 있어서 너무 좋았다. 두 번째 마당에서는 국악에 관한 기본적인 지식과 설명, 마지막 세 번째 마당에서는 국악이 요즘 무대에 어떻게 침투(?)해있는지 알려준다. 이제 국악 공연도, 프로그램도, 페스티벌도 많아졌고 더 많아질테니, 많은 사람들이 찾아듣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스며들 기회가 많아진 것 같아서 기쁘다. 전공자도 아니고 관계자도 아니지만 그저 팬으로서도 너무 기쁘고 벅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