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의 도시를 생각해 - 우리가 먹고 자고 일하고 노는 도시의 안녕을 고민하다
최성용 지음 / 북트리거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처음부터 끝까지 온전히 집중을 해서 읽어야 하는 책은 오랜만이었다. 쉬어가는 구간이 없달까? 어쨌든 다 읽고 나니 약간 피로감이 느껴질 정도로 진중한 이야기들이었다. 특정 주제들에 대해서는 '오히려 역차별이 아닐까?'한 부분들도 있지만 대체적으로는 도시에 사는 사람들이 생각해보면 좋을듯한, 이왕이면 인지를 하고 살아갔으면 하는 내용들이 많았다. 그 중 몇 가지를 소개 해보도록 하겠다.

1. 쓰레기, 내 눈앞에서만 사라지면 끝일까.
쓰레기와 분리수거는 오랫동안 내 관심사였다. 예전에 통번역 과정 중 내가 맡았던 주제인 'Great Pacific Garbage Patch'를 알게 되면서부터 였다. 태평양 한 가운데 프랑스 국토 세 배 면적의 플라스틱 쓰레기 섬이 있다니! 한글 자료는 아예 없었고 영어 자료도 많지 않았다. 그래서 그런 섬이 정말로 존재하는지, 왜 사람들은 이런 엄청난 일을 언급조차 않는건지 이래저래 의심스러웠었다. 그 때 조사를 하며 느꼈던 것이 '사람들은 관심이 없어서 모른다기 보다, 모르기 때문에 관심이 없구나' 라는 것이었다. 새벽에 쓰레기차가 쓰레기를 수거해가면 더이상 내 눈에는 보이지 않으니 그 이후의 과정에 대해서는 깊게 생각을 해본 적이 없었다. 아마 대부분의 사람들도 나와 다르지 않을 것 같다. 하남에 유니온 파크에 대해서 처음으로 찾아봤는데 이런 류의 멋진 시가지 소각장들이 늘어갔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2. 장애가 장애가 되지 않는 도시를 향해.
벤쿠버에서 살 때 정말 신기했던 것 중에 하나는 버스였다. 엄밀히는 저상 버스와 그것을 굉장히 자연스럽게 이용하는 휠체어를 탄 사람들이었다. 한국이었다면 휠체어를 타기 위해 슬로프를 펴고 접을 때 이미 사람들은 답답해서 본인도 모르게 눈치를 주고 말겠지... 라는 생각을 했던 기억이 난다. 그 누구도 크게 신경쓰지 않았고, 나중에는 그냥 물 마시듯 흔한 일이라 나도 신경을 안 쓰게 되었던 것 같다. 한국에 저상버스가 들어온 것은 한참 뒤의 일이었던 것 같다. 하지만 아직도 한국은 저상버스로 말이 많다. 2004년 교통약자법이 생기고, 2007년 계획에서 저상버스 도입률을 2016년까지 40%까지 끌어올리겠다고 했었지만, 작년 기사를 보니 아직도 28%에 불과하다고 한다. 이것도 시내버스 기준이고 고속버스, 시외버스, 마을 버스는 20년째 0%라고 한다. 문득 며칠 전에 읽은 <수어>라는 책의 한 문장이 떠오른다. "비장애인인 사람들은 자신의 능력으로 비장애인이 된 것이 아니라 그저 운이 좋아 비장애인으로 태어난 것이라고.

3. 하늘길, 물길, 땅길, 올킬.
운전을 하다 가장 마주치기 싫은 순간이 있다. 바로 로드킬. 일단 죽은 사체에 놀라고, 다음으론 마음이 아프다. 인간들 때문에 불쌍한 너희가 죽었구나. 그리고는 치워지지 못하고 계속 치일 사체가 마음에 걸린다. 보통은 그저 다음 생에는 안전하고 평화로운 곳에서 태어나길 바라며 명복을 빌어줄 뿐이다. 그래도 요즘은 생태통로도 많이 생기고, 방음벽에도 효과 없는 맹금류 스티커 대신 조류 충돌 방지 스티커들이 붙고 있다. 뒤늦게라도 알아차리고 문제를 제기하고 고쳐나가고 있으니 얼마나 다행인가!

4. '뜨는 동네'의 딜레마, 극복할 방법 없을까.
요즘 젠트리피케이션도 정말 많은 문제가 되는 것 같다. 숲의 천이처럼 어느 정도 자연스러운 일이기도 하지만, 그렇게만 보기에는 돈이 엮여있다. 특히 상권들은, 그 거리 특유의 분위기를 만든 상점들이 대부분 높은 임대료에 쫓겨난다. 명동, 홍대, 연남동 등등에도 대기업 프렌차이즈들이 개성을 없애 버리고, 이제는 어디를 가도 다 비슷비슷한 거리가 되어버렸다. 상업지역의 젠트리피케이션과는 조금 다르지만, 나는 내가 좋아하던 스팟들이 인스타와 페북에 몇 번 오르내린 뒤 엉망진창으로 망가지는 모습을 많이 보았기 때문에 이런 류의 변화들이 영 반갑지 않은 사람이다. 그래서 제도적인 규제가 있어야하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복개천이나 그린벨트, 갯벌, 빗물 등 흥미로운 내용들이 더 많지만 읽는 재미를 위해 글을 줄여보도록 하겠다. 모두가 이기심을 조금 줄이고 서로 배려하며 살아가는 세상이 되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