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을 사랑한 세계작가들 1 - 세계의 책 속에 피어난 한국 근현대 한국을 사랑한 세계작가들 1
최종고 지음 / 와이겔리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의 저자는 법학자이지만 퇴직 이후 “세계의 작가들이 출간한 책들 속에서 우리 문화의 흔적을 찾아본다면 어떨까?”라는 생각에서 작품을 찾기 시작했다고 한다.

생각보다 한국을 사랑한 외국작가가 의외로 많다는 사실에 놀랐고, 한국을 속속들이 알고 글로 썼다는 사실에 놀랐으며, 우리가 이런 사실을 잊고 있었던 사실에 놀랐다고 했다.

나 또한 생각보다 많은 외국 작가들이 한국을 소재로 글을 썼다는 사실이 놀라웠고 한 편으로는 신기하고 재밌었다.

또 한가지 놀라운 것은 역사적 정치적으로 의미있는 무거운 소재를 글로 다룬 것만이 아니라 소소한 일상 생활도 다루었다는 것 또한 의미있다고 느껴졌다.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우리 나라에 대한 구미의 관심이 더 컸던 것 같다.

이들의 서술은 밖에서 우리 나라를 어떻게 보는지, 다시 말해 우리나라를 객관적으로 보는데 도움이 되기도 한다.

몇 가지 인상적인 부분을 소개하자면, '고요한 아침의 나라'라는 별칭을 알린 '퍼시벌 로렌스 로웰'은 서울의 세검정으로 추측되는 곳에서 빨래하는 여인을 보고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여인을 보았다고 서술하고 있다.

그의 저서로 인해 우리나라가 서양에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고 한다.

또한 한국에서 선교사로 활동한 호머 B.헐버트는 익히 들어 알고 있었는데, 그의 동생 아처 B.헐버트 또한 한국을 소재로 한 동화 등 문학작품을 창작했다고 한다.

호머 B.헐버트는 여느 외국인들이 꾸며진 소문으로 인해 한국을 비하하며 독립국가로 존속하는 것보다 일본의 통치를 받는 것이 낫다고 했던 것과 달리 을사조약이 외세의 강압에 의해 체결되었음을 밝힐 뿐만 아니라 대한민국의 독립 뿐 아니라 해방 이후에는 우리나라의 통일을 위해 힘썼다고 하니 웬만한 한국인보다 낫지 싶다.

이 책을 통해 다양한 외국 작가들의 한국 묘사를 보며 한국 근현대사를 새롭게 보는 계기가 되었다.

앞으로 2권, 3권도 이어 나온다고 하니 기대가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