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리아스 생각하는 힘 : 진형준 교수의 세계문학컬렉션 1
호메로스 지음, 진형준 옮김 / 살림 / 2017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치 있는 작품으로 오랫동안 사랑을 받는 고전,

그런 고전 중의 고전으로 호메로스의 일리아스를 꼽는 데에 반기를 드는 이는 거의 없을 것이다.

기원전 800~기원전 750년 경의 작품, 즉 지금으로 부터 약 3000년 이전의 작품으로 여전히 많은 이들이 읽기 원하지만 한편으로는 현대인에게는 조금 어려운 일리아스를

살림출판사에서 진형준 교수의 세계문학컬렉션으로 축약해서 출판했다.

더구나 세계문학컬렉션중의 01번, 일리아스의 명성을 조금은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일리아스는 그리스와 트로이 간의 전쟁을 그린 총 여덟 편의 서사시 중 두 번째 이야기이다.

그리스와 트로이의 전쟁은 트로이 왕자인 파리스와 제우스가 레다에게서 얻은 딸인 헬레네로 인해 발발한다.

아름다운 헬레네가 파리스와 함께 트로이에 돌아오면서 그녀의 남편 스파르타의 왕 메넬라오스의 원한을 사면서 시작된 것이다.

(파리스에게 헬레네를 준것은 아프로디테인데 이미 남편이 있는 헬레네를 어떻게 파리스에게 준 것인지 현대인의 사고로는 도무지 이해가 가지 않는다만.)

트로이 전쟁이 발발한 지 9년째로 접어드는 동안 그리스군은 별 성과 없이 지지부진하게 세월만 보냈지만

결국 아킬레우스가 트로이의 맹장인 헥토르를 죽이며 끝이 난다.

삶과 죽음의 운명이 갈리는 치열한 전쟁터에서 옛 그리스 전사들은 그 운명을 한탄하기도 하고 받아들이기도 했을 것이다.

또한 이 과정 속에서 신들과 함께 했을 것이다.

현대의 신과 달리 그리스의 신은 인간처럼 느끼고 생각하고 분노하고 복수하는,

지극히 인간적인 신이다.

이런 신들의 모습을 통해 아이러니하게 인간의 본성에 대해 깊이 탐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전쟁을 대하는 인간의 모습을 통해, 운명을 대하는 인간의 모습에 대해서도 생각해보게 된다.

부담스럽고 무거워서 일리아스를 읽기 꺼렸던 모든 이들에게 편하게 읽을 수 있는 축역본 살림출판사의 일리아스를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