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보와 빈곤 - 산업 불황의 원인과, 빈부격차에 대한 탐구와 해결책 현대지성 클래식 26
헨리 조지 지음, 이종인 옮김 / 현대지성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느 순간 내가 가졌던 의문이 있다.

'땅은 왜 주인이 있을까?'

공기, 햇빛, 물처럼 땅도 태초부터 존재하고 있는 것인데

어느 순간 누군가로부터 땅에는 주인이 있었다는 것이 이상하게 느껴졌다.

그러다가 토지의 최근 토지 공개념에 대해 알게 되었고 관심이 생겼는데 무려 100년도 더 전에 이것을 주장한 사람이 있다고 하니,

그가 바로 진보와 빈곤을 쓴 헨리 조지이다.

헨리 조지는 세상은 진보하는데 왜 빈곤한 사람은 더 빈곤해져갈까,를 고민하며

토지 사유제의 폐해가 노예제의 그것에 못지않다면서 그것이 현대판 노예 제도를 만들어내는 가장 커다란 사회악이라고 주장한다.

헨리 조지의 사상은 그의 시대에 엄청난 영향을 미쳤고(지금도 혁신적인데 그때는 정말 어땠을까!)

그 사상은 조지주의라고 알려진 경제철학을 성립시켰고,

조지스트라는 그의 사상을 신봉하는 사람들을 만들어 낸다.

그는 이 책에서 우리가 아는 유수한 학자들-애덤 스미스, J.S.밀, 맬서스 등을 신랄하게 비판하며 자신의 사상을 펼쳐간다.

헨리 조지는 토지 투기가 산업 불황의 원인이며 이런 폐해를 없애기 위해 전국의 모든 토지를 공동 재산으로 만드는 것이 좋다고 본다.

하지만 그는 토지의 몰수 같은 과격하고 혁명적인 조치에 대해서는 망설인다는 점이 공산주의와는 구분된다.

개인의 토지 소유는 인정하여 지주의 마음대로 팔게 하되,

그 토지에서 나온 지대를 모두 국가의 세금으로 흡수하자는 것이다.

이 대목에서는 토지에 대한 여러가지 주장을 했던 조선후기 실학사상가들도 생각이 났다.

이렇듯 사회 문제를 해결 하기 위해 깨어있는 사람들은 오래 전부터 있었지만 문제는 심화되며 빈부격차는 그대로 인걸 보면 참으로 안타깝다.

헨리 조지가 살았던 1800년대 미국 뿐 아니라 2019년 현재의 대한민국 또한 빈부격차의 최대 원인은 부동산 투기에 의한 불로소득이고,

조물주 위에 건물주라는 말이 있을 만큼 땅을 기반으로 한 부동산에 관한 사람들의 관심은 매우 크다.

빈곤층의 해결을 위해 토지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헨리 조지의 주장은

100년이 넘게 지난 한국 사회에서도 여전히 유효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