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습 중산층 사회 - 90년대생이 경험하는 불평등은 어떻게 다른가
조귀동 지음 / 생각의힘 / 202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늘날 20대가 경험하는 불평등은 1퍼센트와 99퍼센트의 격차가 아니라 10퍼센트와 90퍼센트의 격차에 기인한다. 그리고 그 격차는 단순히 임금의 격차가 아니라 생애주기 전반의격차다. 변호사·의사와 삼성전자·우리은행 직원의 생활세계 내 격차는 크지 않지만, 그들과 중소기업 노동자 또는 비정규직의 격차는 감히 메울 수 없을 정도로 넓고도 깊다. 20대가 계급 불평등을 경험한다면 현대판 부르주아지인 10퍼센트와 나머지 90퍼센트의 불평등인 것이다. - P9

20대 집단 내부의 격차는 ‘능력‘의 격차로 포장된 ‘결과‘의 격차이면서, 동시에 ‘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계층‘의 격차다. 결국 20대의 격차는 부모 세대인 50대의 격차가 그대로 세습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 P10

결국 오늘날 20대가 경험하는 불평등은 ‘세습 중산층‘과 나머지 사람들의 격차에 가깝다. "부의 위계에 따라 구조화되어 있던 사회가 거의 전적으로 노동과 인적자본의 위계에 따라 구조화된 사회로 바뀌었다"는 토마 피케티Thomas Piketty의 지적은 구미뿐만 아니라 한국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60년대생이 대학(특히 명문대) 정원 확대, 경제 호황기 노동시장 진입, 수출 대기업의 급성장과 그로 인한 노동소득 증가·자산 가격 급등에 힘입어 세습 중산층의 1세대를 이루었다면, 90년대생은 그들의 교육 투자로 만들어진 세습 중산층의 2세대다.
오늘날 20대가 경험하는 불평등의 본질은 부모 세대인 50대 중산층이 학력(정확히는 학벌)과 노동시장 지위를 바탕으로 그들의 자녀에게도 동일한 학력과 노동시장 지위를 물려주는 데 있다. 세습 중산층의 자녀가 ‘번듯한 일자리‘를 독식하는 게 2019년의 20대가 1999년 또는 2009년의 20대와 다른 점이다. 이렇게 심화된 ‘격차 고정‘은 결혼, 주택 등 생애주기에서의 기회에까지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한다. 결혼과 주택 문제는 세습 중산층과 나머지 사람들 간의 격차 심화의 결과이면서 그와 동시에 - P12

격차가 더욱 벌어지게 하는 요인이다.
‘90년대생‘은 출신 학교, 직업, 소득, 자산 나아가 결혼 등의 사회적·문화적 경험에 이르기까지 다중의 불평등을 경험한다. 그들에게 불평등은 마치 공기와 같은 존재라 할 수 있다. 그리고 불평등 확대와 격차 고정 상황에서 겪는 경험의 이질성은 정치·사회 인식에 영향을 미쳐 ‘계급의식‘이라 할 수 있을 정도로 세계관의 차이를 만들어낸다. 따라서 그들은 ‘세대‘로 묶을 수 있는 단일한 실체가 아니다. 굳이 세대론의 용어를 사용해 이들을 규정짓자면 ‘초격차 세대‘가 어울릴 것이다. - P13

불공정·불평등에 대한 인식도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이는데, 이는 성별에서도 차이를 드러낸다. 남성은 사회경제적 지위가 하층일수록 사회 구조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여성은 사회경제적 지위가 상층일수록 사회 구조에 대한 불만을 표시하고, 진보적 성향을 띤다. 20대 남녀 간 정치적 양극화는 중산층 집단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
사회경제적 지위의 향상 가능성이 없는 하위 90퍼센트에 속한 20대들에게서 공통으로 나타나는 모습은 부모 세대인 50대를 불신하는 것이다. 그들이 상위 10퍼센트에 속한 ‘50대-80년대 학번-60년대생‘ 남성의 진보 담론에 대해 냉소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은 자연스럽다. 20대, 특히 20대 남성은 보수화된 게 아니라 비당파화apartisan되어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 P1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