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문화유산답사기 : 산사 순례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유홍준 지음 / 창비 / 201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푸른 숲에 둘러싸여 있는 안동의 봉정사 전경은 
책표지를 넘기기 전부터 마음 설레게 하였다.
책을 펴내며를 읽기 전에 목차부터 살펴본다.
어느 산사가 뽑혀 실려 있는지를.
순서대로가 아닌 끌리는 산사부터 펼쳐본다.

역시 부석사..
그리고는 솔직히 나머지는
이름도 들어본 적이 있었나 싶은
나의 무지를 깨닫는 순간이다

우리나라 산사(山寺) 7곳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됨으로
대한민국은 산사의 나라임이
국제적으로 공인받은 셈이다.

'산사, 한국의 산지 승원'
산사 Sansa. 우리말의 영문표기.
얼마 전에 티브이에서 보게 된
어느 프로그램에서 단색화 Dansaekhwa.
우리말의 영문표기로  사용한다 해서
감동받았던 기억이 났다.

산사.
산에 있는 절이라는 게
너무나 친숙하고 평범하여
뭐 그리 대단한가 싶었던 지라
산사의 유래, 구조와 명칭,
각각 유 교수님의 설명을 들으며
역시 아는 만큼 보인다더니,
대수롭지 않게 생각했던
우리의 산사가 새롭게 다가왔다.

"이처럼 산사에 오면
누구나 일상을 되돌아보면서
혹은 위로를 얻고 혹은 깨달음을 얻는다
.
세파에 시달림이 심할수록
산사의 서정이 사무치게 다가온다"


우리가 산사를 찾는 진정한 이유일 것이다.

영주 부석사.
- 사무치는 마음으로 가고 또 가고

가본 곳이기에 소제목이 마음에 와닿았다.

가기 전 《무량수전 배흘림기둥에 기대서서》라는
책을 다시 보고 찾아갔던 곳.

설명이 많지 않아 아쉬움이 많았던 책이었다면
이 책의 부석사에 대한 내용은
가서 보고 느낀 그때가 생생하게 다시 떠오를 만큼
자세히 서술되어 있어서
흥분을 감추지 못하고 읽어내려갔다.

매 장마다 생생하게 기록되어 있는 내용들과 사진들.
당장 이번 주말부터라도
순서를 정해 떠나고 싶어지는 우리나라의 산사.

중국과 일본에 비해
너무 특징이 없다고 생각했던 나의 무지를
안동 봉정사 편의 한 단락으로
우리나라의 산사를 설명해준다.

"우리의 전통음악에서는 음과 음의 사이,
통 회화에서는 여백을 더욱 소중히 여겼던 것처럼
전통 건축에서는 건물 자체가 아니라 방과 방 사이
,
건물과 건물 사이가 더욱 중요한 공간이었다.
즉 단일건물보다는
집합으로서의 건축적 조화가 우선이었던 까닭에
그 집합의 중심에 놓이는
비워진 공간인 마당은
리 건축의 가장 기본적인 요소이며 개념이 된다
."

가깝게 접할 수 있어서
그 소중함을 몰랐던 산사를 쉽게,
때로는 용어 검색까지 하며
즐겁게 독서할 수 있게  기회 주신
유홍준 교수님께 감사드린다.

건강 유지하셔서
북녘의 산사 편이 발행되기를
간절히 바라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