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칼로레아 철학 수업 - 논리적 사고를 위한 프랑스식 인문학 공부
사카모토 타카시 지음, 곽현아 옮김 / 현익출판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노동은 우리를 더 인간답게 만드는가?
기술은 우리의 자유를 증진시키는 가?
권력 행사와 정의 존중은 양립 가능한가?


위의 논제는 프랑스 바칼로레아 철학 시험에서 나오는 논술 문제입니다.

처음 이런 문제를 접한다면 과연 고등학생들이 어떻게 이러한 논제에 대해 글을 쓸 수 있을까 놀라는 분도 있을 거예요.

프랑스 고등학생은 고등학교 3학년 일 년 동안

필수 과목으로 철학을 배우며 매주 4시간씩 수업을 받는다고 합니다.

철학 개념을 익히고 위와 같은 논제에 답하는 법을 일 년 동안 계속 배워왔기 때문에 쓸 수 있는 것이죠.



사카모토 타카시 교수의 저서 <바칼로레아 철학교육>에서는

철학교육의 목표가 무엇이며

프랑스 바칼로레아에서 어떠한 교육을 받는지 구체적인 예시와 함께 자세히 서술하고 있습니다.



바칼로레아 철학교육의 목표

철학교육의 목표는 다음 다섯 가지로 제시되어 있는데요.
한 문장으로 요약하면 이렇게 볼 수 있습니다.

논제에 대해 다양한 입장을 검토하고, 근거 있는 주장과 지식에 기초한 논거를 제시하여 한 편의 글로 서술할 수 있다.





철학수업에서 무엇을 배울까


프랑스 고등학생은 철학 수업에서 철학적 주제, 개념에 대해 배웁니다.

위 논제에 답할 때 노동, 기술, 자유, 권력, 정의에 대한 개념을 정확히 알고 있지 않으면 답을 쓰기가 굉장히 어려울 거에요.

또한 시대별 철학자들의 주요 사상에 대해서도 배우고, 개념을 어떤 용어로 표현해야 하는지도 배우죠.


개념을 익힌 후에는 사물을 비판적으로 방법을 배웁니다.

당연하게 생각했던 것을 의심해보고,

반대 의견도 최대한 이해하면서 존중하는 태도가 필요합니다.

대립하는 두 가지 입장을 모두 검토하는 과정에서

토론 매너를 배우는 것도 중요한 과정이겠죠.





위와 같은 사고의 과정을 담아 한 편의 글을 작성하는 것이 바로 바칼로레아 시험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학생들은 철학 시험 4시간 중 2시간 동안 논제를 분석한다고 해요.

논제를 다양한 질문으로 바꾸면서 입장을 정리해보는 시간이죠.

질문하는 힘이 역시 중요하다는 생각이 드는 대목이었어요.


논제를 분석한 후에는 구성안(개요)을 작성하고

도입-전개-결론 형식으로 글을 씁니다.

완성된 글에는

얼마나 개념을 이해하고 있는지,

다양한 입장을 고려하고 있는지

설득력 있고 논리적인지

다 담겨 있겠죠😊



마무리

경기도교육청에서는 글로벌 융합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미래교육으로 IB 프로그램에 주목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군포의왕 지역에서는 

2024년 곡란초가 후보학교 선정되었고
궁내초가 관심학교로 선정되어

IB 교육을 도입할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질문에 답하는 것보다

질문하는 것이 더 중요한 AI시대.

바칼로레아 교육은

스스로 질문을 만들고 답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의견을 논리적으로 정리하는

미래교육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입장을 이해하고 토론하다보면

자연스럽게 민주시민에게 필요한 역량도 키울 수 있을 것 같아요.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