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시작하는 다면체 종이접기 길벗스쿨 놀이책
호조 도시아키 지음, 김정화 옮김 / 길벗스쿨 / 2017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집에 사실 종이 접기 책이라면 대략 봐도 한 10권 정도는
소장하고 있는 터라 새로운 종이접기책도
그닥 새롭지 않고..
난이도 별로 있기도 하지만 종이접기 실력이 늘지 않는건지
이해력의 문제인지 늘 비슷한 수준의 종이접기만 하는지라
크게 새롭지도 않던 종이접기의 세계.
다면체 종이접기는 사실 교육 박람회 같은곳에 가면
엄청 큰 모형으로 만들어 놓은것만 봤지 내가 할수 있을거라는
생각은 아예 하지도 않았었거든요.
근데 저 같은 사람을 위해 만든 책인가봐요.
저 '처음시작하는'이라는 문구는 나를 위한!!

 

원래는 유아교육관련 일을 하시다가 종이접기의 길에
들어서게된 저자분은 이력이 참 특이하시다 했어요.
근데 생각해보면 그맘때 아이들부터 종이접기를 많이 시켰던게
아이들 소근육 운동에 좋다고 해서였거든요.

 

 

저렇게 예쁘고 신기한 아이들을 보면서
어떻게 만드나..싶었는데

 

 

사실 기본접기를 한 후에 블럭맞추기 처럼 끼워 넣는 형식이라
차근차근 인내만 있음 누구나 괜찮은 작품을 만들수 있어요.

 

 

종이크기에 대해 나와있는데..
집을 찾아보니 일반 색종이와 6.5CM로 재단되어있는
작은 색종이..그러니까 보통 학종이 용으로 많이 하는
먼저 작은걸로 접어 보기로 했죠.

 

 

기본유닛을 만든 후 제일 처음 만들수 있는 입체 삼각형.

 

 

 

귀엽지 않나요??
한개는 제가 접고 두개는 1학년 2호가 꼬물 꼬물 접어 댔어요.
첨에 할때만 좀 도움을 주고 그 다음부터는 신기하고 재미있던지
정말 뻥 조금 보태서 오만개 접어서 친구들에게 준다고 난리였어요.

 

 

3개를 한번 접어보니 왠지모를 근자감이 생겨서...
기본유닛 12개로 만드는 입체도형인데요.
일단 3가지색으로 그리고 그 색의 위치만 잘 지정한후
책에서 넣으라는 곳에만 넣다보면 나도모르게 완성되는 느낌?

 

 

이렇게 반은 아주 쉽게 무사히 연결..

 

 

이 이후로는 색이 겹치지 않도록 새로운걸 번갈아 가며 잘 접어 넣음
이렇게 작은 모양이 완성됩니다.
저 아이는 벌써 끈을 달아서 오너먼트로 만들었어요

 

 

저 같이 끈기 없는 사람도 할수 있어서 일단 좋구요.
신기한건 정말 누구나 접을수 있는 기본 유닛으로 만든다는거.
계속 조립하면서 이거 만든사람 진짜 머리 좋다~~라고
아이랑 둘이 중얼 중얼 했네요.
예쁜색은 이미 다 써버리고 센스가 조금 부족한지라
예쁘게 만들지 못한거 같아서 색종이 지름신이 불끈 오려고 하는듯 싶어요.
아이와 함께 오랫만에 소근육 운동 어떠세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