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학교가 사라진대요! - 인구, 자꾸 줄면 어떻게 될까? 지식 잇는 아이 5
예영 지음, 강은옥 그림 / 마음이음 / 201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핵가족화 얘기는 제가 국민학교 시절부터 문제로 대두되어 왔긴 해요.

제 주변을 봐도 그때즈음부터 대부분은 부모님과 자식들로 이루어진 가족관계가 많은 부분을 차지했고 외동아이도 많았고 형제는 2명이 많았고 3명이상은 그래도 드물었거든요.

가족이 간소화 되고 자식들도 조금씩 낳다보니 인구가 줄어드는건 당연하고 특정지역으로 인구가 과밀되거나 또 반대로 인구부족현상인 사회 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했어요.

저도 80년대 사람인데 사실 저때도 식구가 북작북작 하면 사람들이 우와~~하는 눈초리로 보기는 했던거 같아요.

그런데 다 크고 어른이 되어 가보니 지금은 형제들 많은게 은근 부럽더라구요.

과거 남아선호사상 때문에 현재 사회에 끼쳐진 영향을 한번 떠올려 볼수도 있네요.

그덕에 인구문제 뿐만 아니라 성비불균형이라는 문제점이 생기고 말았죠.

현재 자라고 있는 우리 나라 아이들도 남성의 성비가 높은지라 아이들 학교에서도 눈으로 확인해 볼수 있어요.

단순히 인구문제뿐 아니라 연관된 사회 이슈를 다뤄주는것은 중요하다 생각해요.

읽을 거리를 찾아 읽지 않음 지금 아이들이 직접 겪고 있으면서도 왜 그런지 모르고 지나갈수도 있는 문제 거든요.

여러 세대에 걸친 가족 이야기를 통해 현재 학교를 문닫게 되는 이유에 도달하게 됩니다.

여러 사회 문제가 얼키고 설켜 출산률이 낮아지고 그로인해 핵가족화가 심화되며 심지어 아이를 낳지 않는 부부들도 많이 생겨나니 아이들이 다닐 학교에서 학생수가 줄어드는건 자명한 일이구요.앞으로 점차 사회의 노령화가 가속되면서 젊은이들은 줄어드는 그런 나이든 사회가 되어간다고 하니 학교뿐만의 문제는 아닐듯 싶어요.

전체적으로 잘 알지 못했던 시대의 이야기도 풀어가며 마치 한명의 삶을 주루룩 들여다 본거 같은 느낌이 들기도 했어요.

단지 한 가족의 이야기가 아니고 인구문제에 대한 전반적인 사회 이슈들이 총출동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책입니다.

저도 읽으면서 제가 살지 못했던 시대의 이야기.

그리고 세월이 거쳐지나오면서 일어난 사회적 현상들을 연관 시켜 보니 재미 없는 기계적으로 알아왔던 것들에 대한 이해가 깊어지는것 같아요.

초등 고학년 아이라면 정말 필독서라고 할만 합니다.

지금 아이들은 우와~하며 마치 역사책 읽듯 과거 얘기들을 읽어갈거 같기도 하지만 앞으로 아이들이 맞을 시대의 문제를 진지하게 고민하고 생각해볼 시간이 될거 같아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