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이선생님의방


 










-
 
선생님의 방 첨엔 기대를 하지 않았다. 

읽을수록 맘에 들었다.

-

이책은 학생들을 상담하면서

조언을 해주고 

공자나 맹자들의 사례나 이야기를 들어서

지혜를 전달하고 있다.

===============================================

27p를 보면 맹자에 대한 선물 얘기가 나오는데

명분이 있는 황금은 받고 명분이 없으면

받지 않았다고 한다.

쓸곳이 없으면 환심을 사기 위해서 라는 것이였다.

맹자가 경호를 위해 이동비를 받기 위해 주는 것은 받았는데

깨끗한 공직자가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본이 되는 이야기이다.

33p를 보면 

열등감으로 힘자랑을 하는게 아닌지 말하고 있다.

남보다 못하다고 생각하면 자연스럽게 자랑을 하는게

사람의 습성이다.

-

악양이라는 사람의 이야기가 나오는데

적국을 공격하자 적국에서 아들을 죽여 보냈다.

아무렇지도 않게 보고 적국을 공격했는데

왕은 악양을 무섭게 보고 신뢰를 하지 않았다고 한다.

자기 자식조차 아무렇게 하지 않는 자는

누구든지 죽일 수 있다는 것이다.

동물의 새끼조차 불쌍하게 여긴사람은 

등용해 왕의 스승으로 삼았다고 하는데

덕성을 그만큼 중요하게 여겼다는 것이다.

강한 권력은 사람을 피폐하게 만들 수 도 있다.

권력에 도취되는 것이다.

힘은 제어하지 못할때 자신을 파괴한다.

어떤 강력한 힘이든 남들을 초월할때 마찮가지이다.

그래서 무인의 대가들은 좌선과 참선을 같이 시킨다.

힘을 제어 하지 못할때 자신과 남을 파괴 하기 때문이다.

-

환공과 장인의 이야기를 읽으면

느끼는 바가 많다

죽은 고인들의(위대한 위인) 이야기를 

읽는 환공에게 실제적인 실용적인 지혜가

있을때 쓸모가 있고 유용하다는것을

이야기함으로써 환공이 깨달은 바가 있다고 하는데

읽기만 하는 지식은 전혀 쓸모가 없다.

아무리 중요한 지식도 마찮가지이다.

실제 생활에 유용하지 않으면 

쓰지 못하는 지식인 것이다.

-

부모가 다 통제하는 아이들은 

아무것도 못하는 아이가 된다.

아이를 망치는 길이다.

아이가 갑자기 죽거나 아이가 떠날때

공허하고 힘이 든다.

그리고 아이도 아무것도 하지 못하는 아이로 자라나게 된다.


-

책에서는 홀랜드의 유형이 나오는데

직무직성 검사나 흥미도 검사에서 

맞는 일자리를 찾을때 중요한검사이다.

실재형이나 사회형이 다르다거나 하는건데

정말 다른 사람은 비슷한 사람끼리 나두면 좀더 행복하지 않을까 싶다.

물런 30명 정도 소규모 집단 즉 많이 비슷한 사람끼리 두면

취미나 노느게 비슷하니 행복하지 않을까?

-
[책을 읽고 생각한것]

자신을 이기는 것이 가장 강한것이다.

남들과 싸워서 경쟁해서 이기는 것은 무의미 하다.

누군가 이기면 다음에는 누군가 자신을 공격할 것이기 때문이다.

계획을 만들고

이루는것은 자신을 이기는 것이다.

-

무서운 아버지와 있는 아이 이야기가 나온다.

아이는 충동성이 높지만 겉보기에는 아주 착한 수용성이 강한 

말잘듣는 아이이다.

의욕이 매사이 없고 주의여건에 자신을 맞추려한다.

이럴떄 아이는 정신적으로 먼저 독립해야 한다고 한다.

내힘으로 살아가기위해서라고 한다.

-

146페이지를 보면 장자가 한발로 서있으면 오래못서있고

벌리거 걸으면 오래못걷는다고 한다.

자만심을 경고하는 말이다.

156p를 보면 어려운 학생들을 

예시로 들어 맹자는 하늘은 사람을 힘들게해

인내심을 기르게 해 크게 쓴다고 한다.

자신을 이기는 마음이야 말로 어떤일도 성취하게 하는 가장 기초적인

내구력인 것이다. 

====================================================

책에서는 수많은 상담으로 어떻게 

대하고 어떻게 아이를 성장시키는가에 대해 나온다.

물런 적용시키는데는 책만 으로는 완벽하지는 않다.

그러나 대강의 방법은 알아낼수 있다.

선생님들에게 강력히 추천하는 책이다.

유치원교사,초중고 교사들이나 학원강사등 학생을 대하는 사람은 특히 읽어보고

부모들도 자신의 자녀에게 맞는 부분은 적용시키길 바래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