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스킷 - 제1회 위즈덤하우스 판타지문학상 청소년 부문 대상 수상작 텍스트T 7
김선미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상에는 자신을 지키는 힘을 잃어 눈에 잘 보이지 않게 된 사람들이 있다. 여러 가지 이유로 존재감이 사라지며 모두에게서 소외된 사람. 나는 그들을 ‘비스킷’이라고 부른다. “

한동안 안 쓰던 서평을 다시 쓰게 만든 책, “비스킷, 글 김선미“ (제1회 위즈덤하우스 판타지 문학상 청소년부문 대상)의 프롤로그다. 신문에 자주 오르내리는 아동학대, 학폭 등 무거운 주제를 청소년 판다지로 풀어낸 책이다.

주인공은 비스킷을 세 단계로 인지한다. 1단계는 보이긴 하지만 존재감이 없어 어두운 사람이라고 느끼게 하는 사람, 2단계는 옆에 있어도 50% 정도는 알아보지 못할 정도로 존재감이 불안정하고 자신을 지키는 힘이 약한 사람, 3단계는 존재감이 없어 세상에서 사라지기 직전, 스스로를 쓸모없는 사람이라고 여기는 사람의 상태다.

주인공의 여러 친구들의 이야기를 통해서 비스킷이 될 수밖에 없었던 다양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다. 어릴 때 엄마를 잃고 슬픔에 빠져 스스로의 존재를 잃어가던 친구가 자신을 알아본 친구들 덕분에 존재감을 회복한 이야기, 학폭에 시달리다가 존재감을 잃었으나 자신이 좋아하는 활동을 하게 되면서 존재감을 회복해 가는 이야기, 삼 남매 중 둘째로 존재감을 잃던 아이가 배려하고 수용만 하던 모습에서 당당히 자신의 요구를 말할 수 있게 되는 이야기. 우연히 듣게 된 윗집 아이의 울음소리에서 알게 된 아동학대 등 결코 가볍지 않은 이야기를 다양한 상황에서의 소외된 사람들의 모습을 그려내고 있다.

주인공은 청각이 예민하다. 아니 예민하다기보다는 과민해서 소리 강박증, 청각 과민증, 소리 공포증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신경 전문 정신 치료 센터’에서 정신과 치료를 받는다. 하지만 주인공은 청각 예민증으로 듣고 싶지 않아도 듣고, 인식한다. 그의 예민증은 겉으로는 병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세상의 약한 존재를 향한 섬세함이다.

“비스킷은 어디에든 있고, 누구나 될 수 있다.”

무거운 주제를 비스킷이라는 상징을 통해 풀어낸 청소년 판타지. 청소년 심사위원들이 뽑을 만한 재미있고 교훈있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