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틸라이프
가이 대븐포트 지음, 박상미 옮김 / 을유문화사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서제공

반고흐의 <양파가 있는 정물>은 많은 의미를 담고 있다. 귀 절단 사건 이후에 그려진 이 그림에는 귀가 달린 올리브 오일병과 양초접시가 나온다. 라스파이의 의학책은 고흐의 빈민과의 연대를 보여주며 양파는 당시 회복기 환자를 위한 가장 저렴한 음식이다.

정물화의 각 정물이 상징하는 것을 이해하며 작품을 보면 우리는 작품을 더 깊이 감상하고 정물 이면의 미지의 세계를 신나게 탐험할 수 있다.

'예술과 문학에 나타난 정물 전반에 대해 다루며, 정물이라는 소재가 전달할 수 있는 가장 깊은 곳까지, 가장 넓게 탐색'한 이 책을 전부 쉽게 이해할 수는 없었지만 정물에 대한 다양한 사유를 할 수 있어 흥미롭게 읽었다. 연대순으로 특징이나 주제별로 엮어진 것이 아니라 역자의 말처럼 콜라주적인 에세이라 감상이 때론 여기저기 분산되고 흩어지기도 한다.  그러나 이것이 정물화가 가진 다양한 의미와 해석 때론, 이중의 의미나 말장난 같기도 하고 한없이 높기도, 천해보이기도 한 카멜레온 같은 면을 보여주는 것 같다.

1장은 정물의 기원과 의미, 
2장은 두상으로 상징되는 인류와 예술, 문명의 순환, 
3장은 사과와 배를 통해 정물의 의미를 살피고 
4장은 니체와 데 키리코의 토리노에서 시작해 밀턴, 키츠, 셸리의 시 속에 드러난 정물을 살펴본다.

저자는 4천 년 전, 조상에 대한 숭배로 영혼이 먹을 수 있는 그림을 그려 넣은 고대 무덤 속의 음식 그림이 아마도 정물화의 기원일 것이라고 말한다. 정물화는 마치 짧은 시나 소네트처럼 화가들의 연습장이고 고백과 명상의 형식이다.  물론, 정물화를 천하게 여긴 이들도 있다. 그러나 그리스 시에서 풍부하게 등장하는 정물화는 '문명의 장으로서의 식탁을 지켜왔다. 

🔖정물이 지속되는 한, 두상이 우리의 운명이다. (106p)
정물에는 책이나 악기, 돌, 잎들도 있지만 고전적인 흉상, 두상도 있다. 코넌 도일의 작품들, 포의 <어셔가의 몰락>의 정물, 두상, 흉상은 어떤 의미를 갖고 그 안에서 펼쳐지는 사건의 맥락을 이해하게 한다. 

문명의 한 쌍, 사과와 배가 정물화에서 의미하는 것도 흥미롭다.
🔖사과는 토착화가 됐지만, 배는 아직 유럽의 산물로 남아 있다는 소로의 생각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사과는- 상이고, 유혹이고, 보상인- 상반된 의미를 지닌 상징물로 사랑과 증오, 조화와 불협화음을 동시에 의미한다. 반면 배는 카리스마 자체다. 게다가 사과처럼 이중적인 의미를 가질 때도 배는 둘 다 좋은 의미다. 실제로 우리는 배 안에서 자연의 조화를 찾는다.(123p)

니체가 토리노에서 느낀 멜랑콜리와 노스탤지어가 이후 정물화의 의미가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알려주며 책은 마무리된다.
🔖시대를 거듭하며 정물화의 운명은 혁신에서 진부함으로 흘러가고 있으며, 낮익음 속으로 사라지고 있다. 필연적으로 정물화는 예술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스타일의 선구자로 또는 전형으로 스스로를 재생해 왔는데 말이다. (208p)


책을 다 읽고 예전에 읽은 책에서 본 그림이 떠올랐다.
제우스와 헤르메스는 어느 날 인간의 모습으로 어떤 마을에 내려와 하룻밤 쉬어 갈 수 있게 요청하지만 번번이 퇴짜를 맞는다.  마지막 바우키스와 펠레몬의 집을 찾았고 이 노부부는 이 나그네들 집으로 안내하고 먹을 것을 대접한다.  식탁 위는 초라해 보이지만 가난한 이 부부는 자신들이 가진 최대한의 것들로 대접하는데 이에 감동한 제우스는 술병의 술이 떨어지지 않게 했으며 이 집을 제외한 모든 마을 사람들이 물에 잠기는 벌을 내린다.

🔖바우키스 할멈은 박하 이파리로 식탁을 닦고는 여기에다 알락달락한 딸기, 가을에 따서 겨우내 포도주에 절여두었던 버찌, 꽃상추, 순무, 치즈 한 덩어리, 뜨겁지 않은 재에다 구운 달갈을 질그릇 접시에 얹어 내놓았네. 무늬가 놓인 술병과 안에다 밀랍을 입힌 너도밤나무 술잔도 나왔네 (이윤기, 그리스.로마 신화)

가이 대븐포트의 <스틸라이프>를 읽고 다시 식탁 위 정물들을 바라본다.  책을 읽기 전엔, 단순한 먹거리로 보였지만 책을 읽은 후엔 정물이 담고 있는 노부부의 아낌없는 대접과 정성을 느낄 수 있었다. 

다 이해하진 못 했지만, 정물을 보다 더 입체적으로 볼 수 있는 관점을 심어준 책이다.  질서 없이 놓인 정물이라도 나름의 이유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게 된다. 번역이 매끄럽고 친절한 각주와 독자를 배려한 편집이 돋보인다. 무엇보다 정물화 그 자체인 책의 물성이 아름답다.


*을유문화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